지난해 4월 이재용닫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SAFE-CDP는 중소 펩리스가 아이디어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칩 설계를 시작할 수 있는 가상 설계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반도체 칩 설계 과정에서 시간·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실제 SAFE-CDP로 차량용 반도체 칩을 만든 국내 펩리스 '가온칩스'는 기존 대비 약 30% 설계 시간을 줄였다. 정규동 가온칩스 대표는 "삼성 통합 설계 플랫폼은 중소업체들의 시장 진입장벽을 낮춰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ADT, 하나텍 등 국내 중소기업들이 SAFE-CDP에 대한 사용 의사를 밝혔다고 삼성전자는 전했다.
박재홍 삼성전자 DS부문 파운드리사업부 부사장은 "통합 설계 플랫폼은 팹리스 업계가 클라우드 기반 설계 환경으로 옮겨가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파운드리 생태계 강화를 통해 고객들이 혁신적인 제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지속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삼성전자는 한 웨이퍼에서 다양한 기업 칩 시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멀티 프로젝트 웨이퍼(MPW)'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기존 8인치 뿐만 아니라 12인치 웨이퍼로 최첨단 공정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같은 삼성전자의 행보는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1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보다 국내 생태계 확장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설계부터 제조까지 한 기업이 담당할 수 있는 메모리반도체와 달리, 분야도 다양하고 공정과정이 분업화한 시스템반도체 특성상 관련 기업의 동반성장이 필수적이라고 업계는 지적한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