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올 2분기 회사채 발행 규모는 총 15조 69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분기(32조 2920억 원) 대비 53.3% 감소한 수치다. 발행 기업 수도 70개사로 1분기(119개사) 대비 41.2% 감소했다.
6월 단월 기준 발행액도 2조 9860억 원(16개사)을 기록해 5월(4조 6330억 원, 18개사) 대비 35.5% 줄었다. 2분기 월평균 발행은 5조 230억 원으로, 1분기 평균(10조 7640억 원)의 46.7% 수준에 그쳤다.
이번 분석은 일반 회사채와 자본성 증권(후순위채, 신종자본증권)의 공모 발행 실적(상장일 기준)을 대상으로 했으며, 은행채, 여전채, 자산유동화증권(ABS), 수요예측을 거치지 않은 건은 제외했다.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6월 이후에도 기관 투자자 중심의 채권 순매수 기조가 유지되고 있으며, 외국인도 7개월 연속 순매수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발행 물량이 제한적인 가운데 기관의 투자 수요가 특정 등급과 만기에 집중되면서 시장 전반의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는 양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에선 올해 2분기 발행 감소가 단순한 계절 요인보다는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과 통화정책 신호의 모호함, 지정학적 변수 등 대외적 요인이 주요하게 작용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지금은 'Wait and See'의 시기”라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부동산 지표 안정과 DSR 효과 확인이라는 복수 조건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금통위 내부에서도 여전히 금융안정과 경기 회복 간 기조가 팽팽히 맞서는 중이며, 이로 인해 기업들이 자금조달 시점을 유보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 자금조달 목적은 차환 중심으로 압축됐다. 2분기 전체의 79.8%, 6월 기준으로도 58.1%가 차환 목적이었고, 신규 투자 성격의 운영 · 시설자금 조달 비중은 각각 10.8%, 13.4%로 제한적이었다. 하반기 만기 도래 물량을 감안하면 3분기부터는 차환 수요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

표=한국금융신문 / 자료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
6월 기준으로도 전체의 83.3%(2조 4860억 원)가 일반 회사채였으며, 후순위채는 16.7%(5000억 원)에 그쳤다.
1분기 중 주요 금융지주와 은행권의 선제적 자본 조달이 마무리된 데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된다. 일례로 KB금융, 한화손해보험 등 금융지주사와 보험사는 1분기 중 후순위채 · 신종자본증권을 활용한 대규모 증자성 발행을 단행한 바 있다.
금융권 자본성 조달은 향후 재개 가능성도 거론된다. 금융당국이 바젤Ⅲ 최종안을 2026년부터 국내 전면 시행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하반기부터는 자본비율 선제 관리 차원의 후속 조달 수요가 다시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2분기에는 여전히 우량등급 중심 발행이 뚜렷했다. AA- 이상 발행 비중은 67.0%로 중심축을 형성했으나, 1분기 대비 약 10%p 하락했다.
6월에는 A+ 이하 비중이 48.8%까지 올라오며 중신용 기업의 조달 접근성이 일부 회복된 흐름도 확인됐다. 이는 일부 기관의 신용 프라이싱 다변화와 발행 금리 수용 가능 범위 확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투자자들은 여전히 신용도에 민감한 선별적 접근을 유지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이 기조는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만기 구조에서는 3년물이 6월 기준 35.9%, 2분기 누적으로는 48.3%를 차지하며 가장 선호되는 구간으로 자리 잡았다. 반면 10년물 이상 장기물 비중은 낮아졌고, 7월 국고채 발행 계획에서도 장기물 축소, 단기물 확대 기조가 확인됐다.
이는 기업들이 금리 변동성 리스크를 회피하고, 중기 만기 선호를 통해 비용과 리스크 간 균형을 모색하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발행규모 면에서는 1000억 원 이상 쏠림 현상이 지속됐다.
6월 기준 3000억 원 이상 발행은 전체의 47.9%(1조 4300억 원)를 차지했으며, 1000억 ~ 3000억 원 미만도 44.7%(1조 3340억 원)에 달했다. 반면, 1000억 원 미만 발행은 전체의 7.5%(2200억 원)에 불과해 중소 · 중견 기업의 직접금융 시장 접근성은 여전히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분기 누적 기준으로도 1000억 원 이상 발행이 전체의 94.5%를 차지하며, 자금조달 시장의 대기업 편중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미국의 관세 정책, 국내 부동산 흐름, 기준금리 동결 또는 인하 여부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로 인해 3분기에도 일정 기간 ‘선별적 수요 vs 신중한 공급’의 수급 비대칭 기조는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특히 하반기 만기 도래 물량이 집중되는 가운데,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가 현실화되고 시장 신뢰가 회복된다면 기업들의 차환성 발행이 본격화될 여지도 있다. 다만, 국내외 금리 흐름, 지정학 리스크, 글로벌 유동성 환경 등 외생변수가 여전히 상존하는 만큼, 시장 복귀에 대한 전략적 판단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두경우 한국금융신문 전문위원 kwd122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