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재난 상황에서 필요 장비들을 신속히 확보해 복구작업을 진행함으로써 구민의 안전을 지키고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협약에 따르면 7월부터 올 연말까지 각종 재난 상황 발생 시 동작구는 16개 장비업체에 포크레인, 덤프트럭, 준설차 등 17종류의 장비 총 57대를 요청할 수 있다. 장비업체는 동작구에 최우선으로 인력과 장비를 투입하고, 구에서는 업체에 적정 대금 지급 및 신속정산, 수의계약 총량제 제외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동원 가능 장비 대수는 지난해 8월 서울에 발생한 기록적인 수해 복구에 동원되었던 장비 규모에 준하여 산정되었다.
이 밖에도 동작구는 지난해 입은 수해에 따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정된 후, 관계기관 협의 및 구민 홍보를 통해 총 2만 818명에게 전기요금, 건강보험료, 재산세 등의 감면 혜택을 지원했다고 밝힌 바 있다.
박일하 동작구청장은 “구민의 든든한 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하여 재난 발생 시 적극적이고 신속한 대응과 복구 지원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