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은 비상장기업 리서치를 강화하는 등 물밑에서 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다. WM(자산관리), IB(투자은행) 부문 활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3일 국회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5월 27일자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최종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BDC는 이르면 내년 상반기 도입이 예상되고 있다.
개정안에 따르면, 인가·설정·운용·회수의 전 단계에 걸쳐 공모펀드와 사모펀드의 장점을 융합하는 형태로 BDC를 설계한다. 자산의 60% 이상을 벤처·혁신기업에 투자하며 ETF(상장지수펀드)처럼 한국거래소에 상장해서 일반 투자자가 쉽게 매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BDC 인가는 기업금융과 투자기업 발굴 등에 강점이 있는 주체의 진입 허용을 예고하고 있다. 금투업계에 따르면, 자산운용사, 증권사, 그리고 VC(벤처캐피탈) 등에서 BDC를 준비하고 있다.
특히 증권사는 리서치센터에서 비상장 기업 리서치에 힘을 싣는 게 눈에 띈다. 본래 비상장기업 투자는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깜깜이 투자' 영역으로 분류돼 왔는데 리서치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DB금융투자(대표 고원종) 리서치센터의 경우 지난 2019년 10월 업계 최초로 비상장기업 분석 자료를 내기 시작해 3년 여만인 올해 6월 비상장기업 리서치 분석 자료 100호를 발간했다. 100호까지 총 114개의 비상장기업을 분석했다.
KB증권(대표 박정림닫기


신한금융투자(대표 이영창, 김상태닫기

한국투자증권(대표 정일문닫기

NH투자증권(대표 정영채닫기

아울러 공모주 투자가 활성화되면서 ‘프리(Pre)-IPO’ 시장 투자에 나서는 개인투자자들이 증가하면서 장외거래 플랫폼에서도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증권가는 특히 BDC를 향후 '새 먹거리' 수익 기둥으로 주목하고 있다. 금투업계 한 관계자는 "WM 부문에서 ‘큰 손’ 고액자산가들의 비상장 투자 수요도 있다"며 "향후 벤처기업 상장 주관 업무까지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비상장기업 자금공급 확대를 위해 해외 유사 제도를 벤치마킹해 도입 예정인 BDC는 국내 모험자본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성공적인 BDC 제도 운용의 요체는 공적 자본시장을 통한 모험자본 확대와 제도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투자자보호 간 균형을 조화롭게 이루어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