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는 16일 인도네시아 브카시시 델타마스공단에 위치한 인도네시아 공장에서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정의선닫기

정 회장은 "인도네시아는 현대차 미래 모빌리티 전략의 핵심 거점”이라며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은 인도네시아 미래 산업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게 될 전기자동차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 인도네시아 공장은 약 15억5000만달러가 투입됐다. 생산능력은 연 15만대 수준으며 향후 25만대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생산차종은 해외전략형 소형SUV 크레타, 전용전기차 아이오닉5이며 올해 상하반기에 각각 싼타페와 해외용 소형MPV를 추가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공장은 동쪽으로 약 40km엔 수도 자카르타가 고속도로로 이어져있고, 남동쪽 약 60km에는 동남아 해운 중심지 탄중 프리오크가 있다. 이 곳을 중심으로 성장 잠재성이 큰 인구 6억명 이상의 아세안 시장을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아세안 주요 시장은 현재 토요타 등 일본기업들이 70% 이상 점유율을 가진 시장이다.
특히 현대차는 인도네시아에서 전기차를 직접 생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동남아 국가들이 친환경차 전환을 준비하는 만큼 일본 기업에게 점유율을 가지고 올 수 있는 기회로 삼겠다는 의도가 읽힌다.
업계에서는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 아세안 주요 5개국의 자동차 시장이 2025년 약 358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현대차는 생산 외에도 제품 개발, 판매 등에서도 동남아 공략에 최적화한 전략을 펼친다는 방침이다.
제품 개발은 철저한 아세안 전략 모델 개발을 위해 사전에 별도 조직을 구성하는 등 본사와 인도네시아 현지 간 상품개발부터 양산까지 긴밀한 협업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또 현지에 최적화된 경쟁력 있는 제품 출시를 위해 국내 부품사와 현지 부품사 간의 기술 제휴를 추진하는 등 현지 부품사의 기술 역량도 강화했다.
판매 체계는 소비자의 주문을 받아서 제품을 생산하는 ‘주문 생산 방식(BTO)’이 새롭게 적용됐다. 주문 생산 방식은 소비자들은 제품 사양을 주문 시 선택할 수 있고 생산자는 재고 관리 비용 등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