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이재현 CJ그룹 회장

이재현 회장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인수합병(M&A)를 중단한 대신 꺼내든 카드는 네이버와의 혈맹이었다. 네이버와 CJ그룹은 지난해 10월 상호 지분 투자를 결정하고 6000억원대 주식을 교환했다. 격변하는 경영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K콘텐츠 및 디지털 영상 플랫폼 사업 협력, 이커머스 혁신을 위한 e-풀필먼트(e-fulfillment) 사업 공동추진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포괄적 사업제휴를 맺었다. 이 주식 교환으로 네이버는 CJ대한통운과 CJ ENM의 3대 주주, 스튜디오드래곤의 2대 주주가 됐다.
◇ ‘콘텐츠·쇼핑-결제-물류’ 밸류체인 만든 CJ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지난해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을 통해 “(CJ그룹과의 파트너십은) 쇼핑과 결제, 물류로 이어지는 흐름에 완결성을 더하고, 글로벌 콘텐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협업은 주로 콘텐츠와 커머스 부문 전방위에 걸쳐 진행될 전망이다.
결과는 속속 나오고 있다. 올해 초 네이버는 CJ ENM이 손잡고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결합상품을 내놨다. 월 4900원을 내면 결제 금액의 최대 5%를 네이버페이로 적립해주는 네이버의 유료 회원제 ‘네이버 멤버십’에 CJ의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인 ‘티빙’ 서비스를 추가한 상품이다. 멤버십에 가입하면 웹툰 등으로 바꿀 수 있는 쿠키 49개, 영화 1편 무료 쿠폰, 콘텐츠 체험팩 등 중에서 1가지 콘텐츠 혜택을 선택할 수 있다. 콘텐츠 혜택 선택지에 이날부터 티빙 OTT 서비스가 추가된 것이다. 티빙은 네이버 고객 유입을, 네이버는 ‘락인’ 효과를 볼 수 있는 구조다.
CJ대한통운과는 이커머스·물류 분야에서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배송·물류망은 네이버가 쇼핑사업을 확장하는 데 최대 약점으로 꼽혀온 부문이다. ㅠ네이버 쇼핑은 국내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 1위이지만, 자체 배송망을 가지고 성장한 쿠팡이 근소하게 따라붙고 있다. 네이버는 물류업계 1위 CJ대한통운의 풀필먼트 운영 노하우를 통해 격차를 더 벌릴 것으로 보인다. 실제 CJ대한통운은 현재 네이버 브랜드스토어에서 판매하는 LG생활건강 등 8개사 상품에 풀필먼트를 접목해 24시간 내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풀필먼트는 물류센터 내 물품 보관부터 포장, 배송, 재고 관리를 총괄하는 통합 물류관리 시스템으로, 쿠팡의 로켓배송과 같은 서비스를 가리킨다.
네이버는 올해 이 같은 서비스를 더욱 확장할 계획이다. 한 대표는 “올해 브랜드사들이 CJ대한통운을 선택해서 조금 더 많은 상품이 이용자에게 빠르게 전달될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물류 관련 기술개발에도 상호 협력해 수요 예측, 물류 자동화, 재고배치 최적화, 자율주행, 물류 로봇 등의 디지털 물류 시스템을 한층 정교화해 스마트 물류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 멈춘 성장, 인사 쇄신으로 극복…계열사마다 상황 달라
계열사 정상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뤄지는 가운데 그룹 내외부에 급격한 사업 환경 변화가 감지되자 인적 쇄신에도 나섰다. 지난해 말 이뤄진 정기인사에서 이 회장의 혁신 의지를 엿볼 수 있다. CJ제일제당, CJ대한통운, CJ E&M은 대표 교체를 선택했고 코로나19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CJ CGV와 CJ 푸드빌에는 각 사 상황 개선에 적합한 대표를 선택했다. 대표들은 사업 확대 박차 혹은 각기 다른 이유로 부침을 겪고 있는 상황을 해결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최은석닫기

지난해 CJ제일제당을 이끈 강신호 대표는 CJ대한통운으로 자리를 옮겼다. CJ대한통운은 코로나로 물류 실적이 껑충 뛰었지만 택배 노동자 사망사고 문제와 관련한 갈등을 겪고 있다. 강 대표는 이를 해결해야 할 숙제로 안게 됐다. 지난해 프로듀스 시리즈 투표조작 사건으로 홍역을 치룬 CJ ENM 대표에는 검사 출신인 강호성 총괄부사장이 내정됐다. 대표 취임 이후에는 투표 조작 사건에 대한 소송 대응과 실적 악화 해결에 주력할 전망이다.
허민회 CJ ENM 오쇼핑부문 대표는 CJ CGV 대표로 옮겼고 부사장에서 총괄부사장으로 승진했다. 그간 허 대표는 경영이 어려운 계열사에 투입돼 정상화를 끌어내는 구원투수 역할을 수행해왔다. 2011년 말 CJ푸드빌의 대표직을 맡으면서 1조원대 매출을 거두고 흑자 전환에 성공한 일화도 있다. 현재 CJ CGV는 코로나19 이후 관객 감소로 직격타를 맞아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출점 계획 전면 수정 등 극단적인 자구책을 시행 중인 CJ CGV가 올해 현금 흐름에 숨통이 트일지 관심이 쏠린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