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는 핵심 생산거점인 울산Complex(이하 울산CLX)의 원유저장탱크점검에 드론 검사기법을 도입했다고 13일 밝혔다.
김준닫기

SK에너지의 울산 CLX에는 원유를 수입해 정유공장에 원료로 투입하기 전까지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원유 저장탱크만 34기가있다. 총 저장용량은 2천만 배럴로 대한민국 원유소비량 약 240만배럴의 8배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원유저장탱크는 원유 특성상 유증기 등의 발생으로 안전을 위해 주기적인 점검이 필수다. 올해부터는 관련 규정이 바뀌어 11년 주기의 정기검사에 더해 별도의중간 검사제를 도입해 실제로 5~6년에 한번씩 검사를 하게 됐다. 기존에는34기의 원유저장탱크중 매년 3~4기를 조사했다면 이제는6~8개로 늘어나면서 검사 대상 탱크가 많아 졌고, 주기가 짧아 지게 됐다.
SK에너지의 울산CLX는 지난해 정부 정책 발표 후 1년여간 원유저장탱크 점검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철저한 준비를 해왔다. 원유저장탱크는 유증기가 발생하는 특성이 있어 작은 충격에도 매우 민감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이에 드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드론 추락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SK에너지는 과제 해결을 위해 울산CLX 검사Unit에 △드론에 낙하산 장착 △공인 기관에서 배터리 충격 테스트 완료 △2차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한 2중 프로텍터 설치 △2인 1조 운전으로 작동 오류 해소 △전문성과 기술력을 갖춘 울산 내 업체 발굴 등 이중, 삼중의 안전 장비 및 체계를 마련했다.
SK에너지가 울산CLX 원유저장탱크 정기검사에 드론을 도입함으로써 △육안검사 대비 검사 정확도 향상 △높은 곳에 사람이 올라가지 않아도 되는 안전성 확보 △탱크 전체를 감싸던 임시가설물 설치 없이도 되는 시간과 비용 절감 등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다.
SK에너지는 올해부터 2021년까지 검사가 예정된 탱크 30기에 대한 검사비용이 약 9억원에서 5천만원 수준으로 대폭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상 75만배럴 규모 원유저장탱크의 검사비용은 기당 최대 1억원이 들었으나, 드론을 활용하면 2~3백만원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검사주기 단축으로 인해 두배 이상으로 증가한 검사 물량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최혁진 SK에너지 검사2Unit 과장은 “드론 검사 도입은 그동안 안전 문제로 당연히 안된다고 여기던 것을 관련 부서가 애자일하게 움직여 근본부터 다시 파헤쳐 해결한일하는 방식의 혁신 성과”라며 “이후에는 환경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으나, 확실한 검사방법이 없었던 해상파이프설비 등 SK 울산CLX 내 설비 검사에 드론 활용을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