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re] 우리 아이도 혹시? 새 학기 증후군 처방전](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030911114305832dd55077bc212323473.jpg&nmt=18)
특히 신나는 방학을 보낸 아이들이 새 학기를 맞아 학교에 갈 시기가 되면 감기에 쉽게 걸리고 머리나 배 등에 통증을 느끼거나 이상한 버릇을 반복하기도 하는데, 이는 두려움과 중압감이 스트레스로 작용해 정신 상태와 면역 체계에까지 영향을 주는 것이다. 우리 아이, 새 학기 증후군 없이 새 학기를 밝고 긍정적으로 시작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가기 싫어’… 어른의 월요병과도 같은 새 학기 증후군
새 학기 증후군은 정식 질병은 아니지만 학계에서는 스트레스로 인한 일종의 적응 장애로 보고 있다. 단순히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서 생기는 일시적인 모습이라고 여길 수 있지만, 아이의 경우 이 시기에 적절하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경험하지 못하거나 스트레스 해소가 충분하지 못하게 되면, 식욕부진이나, 두통, 복통, 수면장애 등을 호소할 수 있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들은 부모와 떨어지는 것에 불안감을 느끼는 ‘분리 불안’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증상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복통과 두통이 가장 흔하다. 또 등원시간이 되면 학교를 가지 않겠다고 떼를 쓰며 바닥에 드러눕기도 한다.
밥을 잘 먹지 않거나 이유 없이 짜증을 내기도 하며, 잠을 푹 자지 못하고 화장실을 지나치게 자주 가는 경우도 있다.
심할 경우 눈을 수시로 깜빡이거나 코를 킁킁거리는 등 틱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는 만큼 아이들의 행동을 면밀히 관찰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Edu-care] 우리 아이도 혹시? 새 학기 증후군 처방전](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030911115702784dd55077bc212323473.jpg&nmt=18)
아이의 새 학기 증후군을 치료하려면 무엇보다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아이를 윽박지르는 건 금물이다. 아이에게 ‘아무도 나를 이해해주지 않는다’는 생각을 심어 주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게 더 힘들어진다.
일단은 새 학기가 되었다고 새로운 학원을 등록하거나, 새 학습지를 강요하기보다는 조금 적응된 이후에 천천히 시작해도 늦지 않다. 편안한 휴식과 신나는 놀이 시간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또 아이가 등원을 거부할 때는 결석이나 지각을 하지 않도록 도와줘야 한다.
늦잠을 자게 돼서 등원을 서두를 경우 아이는 이로 인해 화가 나고 귀찮아지면서 등원을 거부할 수 있으므로 일찍자고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저녁에 아이와 함께 직접 알람 시계를 맞추고 아침에 알람 시계를 듣고 아이가 스스로 일어날 때 아낌없이 칭찬해주면 아이에게 자립심도 함께 심어줄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아이가 등원 거부를 하는 시기는 일시적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 친구들과 같이 어울려 지내는 것이 재미있다는 것을 경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이 보다 더 재미있다는 것을 스스로 알아가도록 “오늘 뭐했니?”라고 묻기보다는 “오늘 어땠니?”라고 함께 정서를 나누어주는 시간을 갖는 것도 중요하다.
※ 본 기사는 한국금융신문에서 발행하는 '재테크 전문 매거진<웰스매니지먼트 3월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김민정 기자 minj@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