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BK기업은행 본점 / 사진= IBK기업은행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 노조는 7월 하반기 정기인사 이후 행장 임명 과정에서 직원들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기업은행 노조 관계자는 "기업은행은 시중은행 행추위 처럼 내부에 기구가 있지 않고 금융위원장의 제청으로만 행장이 선출돼 직원들의 의사가 반영될 여지가 없다"며 "직원들이 행장 임명 과정에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기업은행은 국책은행으로 중소기업은행법에 근거해 운영된다. 기업은행장은 중소기업은행법 제26조에 따라 금융위원회 위원장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면한다.
기업은행은 국책은행 성격으로 소위 '낙하산 인사'로 외부인사가 행장을 맡은 경우가 많았으나 조준희, 권선주, 김도진닫기

노조는 이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과거 노조 사례로 내부 행장추천위원회를 신설해달라는 의견을 금융위원회에 전달하거나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의견을 개진하기도 했다.
기업은행 노조 관계자는 "행장추천위원회는 정관상 노조가 만들 수 있지 않아 현실적으로 어렵고 현 행장 임기가 5개월 이상 남은 상황에서 지금 구성하는건 적절치 않다"라며 "정해진건 없으며 직원 의견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7월 중순 인사 이후 논의해 마련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최근 김용범 전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등 외부 인사가 하마평에 오르고 있어 낙하산 인사가 부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기업은행 노조 관계자는 "직원 의견 반영은 낙하산 인사 우려로 하는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