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TI 해상 저유황중유(LSFO) 블렌딩 사업, 수입한 석유 반제품을 투입해 저유황중유 블렌딩 과정을 거쳐 생산된 LSFO를 발전소·선박용·정유 공장 원료로 판매한다. 출처 : SK이노베이션
이미지 확대보기
SK이노베이션이 석유제품 수출 및 트레이딩 전문 자회사인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이하 SKTI)을 통해 최근 저유황유 사업 규모를 확대 중이라고 3일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지난 2016년 환경 보호 등을 위해 해상 연료유에 적용되는 황산화물 함량을 3.5%에서 0.5%로 대폭 감축 시키는 안을 확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2020년부터 해상 연료유 시장은 저유황중유(LSFO), 선박용 경유(MGO), 액화천연가스(LNG) 등 저유황유 중심으로 재편될 예정이다.
SKTI는 이러한 시장 움직임을 환경 규제 대응과 신규 시장 개척의 적기로 판단하고 저유황유 사업인 ‘해상 블렌딩 비즈니스’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 올해 기존 LSFO보다 황 함유량이 20% 수준인 초저유황중유(ULSFO) 전년 대비 2배 가량 늘리기로 했다.
SKTI는 2010년부터 싱가포르 현지에서 초대형 유조선을 빌려 블렌딩용 탱크로 활용해 LSFO를 생산하는 ‘해상 블렌딩 사업’을 운영 중이다. LSFO를 블렌딩하는 사업은 과거에는 육상 시설에서만 제한적으로 운영되어 해상에서의 블렌딩은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이 있었다. 국내에서는 SK가 유일하게 시도하고 있다.
SKTI 관계자는 “규제를 사업 확대 기회로 받아들이고, 업계에서 어려워하는 해상 블렌딩을 확대하는 등 두 가지 차원에서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통해 사업을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며 “동시에 역내 최대 경유 수출자의 지위를 활용, 선박용 경유(MGO)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과 싱가포르로 시장을 확장함으로써 한국, 중국, 싱가포르를 잇는 해상유 물류 트레이딩 모델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SK이노베이션은 친환경 제품 생산을 늘리는 설비 신설도 추진하고 있다.
2017년 말 석유사업 자회사인 SK에너지는 총 1조원 가량이 투입되는 감압잔사유탈황설비(VRDS) 신설 계획을 발표했다. 고유황 연료유인 감압 잔사유를 저유황, 디젤 등 고부가 제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설비다. 2020년 설비가 완공되면 SK이노베이션은 국내 1위의 저유황유 공급자로 도약하게 된다.
한편 SK이노베이션은 폐가죽 재활용 의류업체 모어덴에 투자, 중국 내 전기차 베터리 공장 건설 추진 등 친환경 정책을 펴고 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환경규제가 강화되는 국제사회의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며 "장기적으로 환경 등 사회적 가치 역시 높게 평가하기 때문에 전사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