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가 지난 CES에서 선보인 친환경•샤시•조향•제동 통합부품 ‘e-코너 모듈’을 관계자들이 살펴 보고 있다. 사진=현대모비스.
이날 현대모비스는 ‘2018 지속가능성보고서’를 통해 “지난 2009년 친환경차 부품을 첫 양산한 이후 9년 만”이라며 “2013년 수소전기차 핵심부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한 데 이어 지난해 충북 충주 친환경차 부품 전용공장을 추가 신축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특히 글로벌 완성차 시장에서 친환경차 판매가 증가함에 따라 현대모비스의 친환경차 부품 사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된다.
지난 5월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현대·기아차의 친환경차 판매량이 전년동기 대비 12.7% 증가한 10만대를 돌파한 점도 현대모비스에 긍정적이다.
하이브리드카·전기차·수소전기차 등 현대·기아차의 모든 친환경차 라인업에 핵심부품을 공급하는 현대모비스의 친환경차 부품 매출은 올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모비스는 지속가능성보고서를 통해 차세대 현대차 수소전기차 넥쏘 등 올해 양산 중인 총 16개 차종의 친환경차에 핵심부품을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해 성능을 개선한 하이브리드차량용 모터·전력변환장치(인버터·컨버터), 배터리시스템 등은 일반 내연기관차 대비 62.8%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커넥티비티 등 미래차 비전과 연구개발현황도 지속가능성보고서에 담았다. 고객·협력사·주주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경영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글로벌 부품기업으로서 지속가능한 성장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현대모비스는 국내와 북미·유럽에서 현재 3대를 운영 중인 글로벌 자율주행 테스트차량 ‘엠빌리(M.Billy)’를 올해 말까지 총 10대로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차량 외부 360도를 감지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용 레이더 센서 5개를 올해 안에 개발해 2021년까지 순차적으로 양산할 계획이다.
지속가능성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모비스의 R&D 비용과 인력은 7700억원과 2715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8.6%와 10% 증가했다. 현대모비스는 핵심부품 매출 대비 현재 7% 수준인 R&D 투자비를 오는 2021년까지 10% 수준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