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한국정부의 이동통신요금 인하는 SK텔레콤과 KT 등 통신사업자의 이동통신 부문 매출 축소와 신용지표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션 황 무디스 애널리스트는 “정부의 이동통신 요금 인하 조치에 따른 SK텔레콤과 KT의 이동통신 매출 감소는 2018년 3%~4%, 2019년 2%로 예상되며, EBITDA(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대비 조정차입금 비율은 2018~2019년 0.1배 상승해 SK텔레콤은 2.3배, KT는 1.9배 수준이 될 것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추진 중인 보편요금제 도입 가능성 및 요금경쟁 확대로 인해 통신사업자의 이동통신요금이 추가적으로 축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응하는 수준의 마케팅비용 축소가 없는 한 통신사업자의 수익성 및 신용지표에 추가적인 압력이 발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9월 선택 약정할인율을 20%에서 25%로 상향조정했으며 저소득층 및 노인세대 대상의 요금 감면 조치를 발표했다.
또, SK텔레콤이 요금을 낮춘 보편요금제를 도입하도록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며, 동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경우 타 통신사업자들도 이와 유사한 요금제를 도입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는 2만원에 보편요금제가 출시될 경우 통신사업자의 이동통신부문 매출이 추가적으로 5%~10% 감소할 것으로 추산한 바 있다.
무디스는 먼저 발표된 요금 인하 조치의 영향 외에 정부가 추산한 바와 같이 통신사업 자의 이동통신부문 매출이 추가적으로 5%~10% 감소할 경우 마케팅 비용을 10%~15% 줄인다 하더라도 2019년까지 영업이익이 SK텔레콤의 경우 2017년 대비 29%~52% 감소 KT의 경우 23%~41%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가정 하에서 2019년 SK텔레콤과 KT의 레버리지 비율은 2019년까지 각각 2.5배~2.7배, 2.0배~2.1배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어 보편요금제 시행이 무산되더라도 정부의 통신요금 인하 및 요금경쟁 확대 정책은 통신사업자들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저렴한 신규 요금제를 도입하도록 유도할 것으로 예상한다.
무디스는 치열한 경쟁과 높은 판매 채널 관련 비용으로 인하여 SK텔레콤과 KT가 이동통신 매출 축소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마케팅 비용을 대규모로 축소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무디스는 “최근 3년간 한국 통신사업자의 평균 마케팅 비용이 이동통신부문 매출의 약 25%로 글로벌 경쟁사 대비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고 말했다.
이어 “요금 인하가 KT의 신용도에 미치는 영향은 SK텔레콤 대비 상대적으로 덜 민감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KT의 사업다각화 및 재무적 완충력이 비교적 더 높은 수준에 있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SK텔레콤은 ‘부정적’ 등급전망에 반영된 바와 같이 동사가 추진 중인 ADT캡스 인수 이후 재무 레버리지 비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김승한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