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이재원닫기

이 연구원은 연초에는 LNG선이 수주실적에 크게 기여했으며 올 2분기 이후에는 초대형 컨테이너선 수주 모멘텀이 부각될 것으로 진단했다. 그는 “LNG선에 이어 컨선 발주 움직임 감지되고 있고 수주잔고가 부족한 벌크선이나 PC선은 언제든 발주 증가 가능성이 있다”며 “수주회복으로 수주잔고 증가세로 돌아서면 선가도 상승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정상급 회사이면서도 순수 조선회사인 상장사는 한국 조선업체들 및 중국 양쯔장조선 정도로 선택지가 제한적”이라며 “조선업 턴어라운드 기대감 높아질수록 구조적으로 한국 조선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