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포화상태에 다다른 국내 보험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배타적 사용권 확보 경쟁과 세계 시장에서 새로운 대세로 떠오르고 있는 인슈어테크의 역습 등, 보험업계는 그 어느 때보다도 어려운 한 해를 보낼 것으로 전망된다.
보험업계 전반에 ‘불확실성’이라는 안개가 끼어있는 상황에서 보험업계 협회장 및 CEO들은 신년사를 통해 한목소리로 ‘체질개선’과 ‘소비자 신뢰 회복’을 외쳤다.
보험업계 수장들의 신년사 속 ‘체질개선’ 문제는 매 해 반복적으로 등장해온 키워드다. 그러나 올해의 경우 IFRS17 도입이 실제로 가시화됐으며, 신제도 도입 직전해인 2020년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보험사들에게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의미심장한 문제다.
‘소비자 신뢰 회복’ 역시 보험의 불완전판매가 사회적 문제로 꾸준히 제기되고 있고, 금융감독원의 특별법 시행에도 작년 기준 보험사기 적발 금액이 상반기에만 3703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보험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이 극에 달한 상황이기에 다시금 신년사를 통해 경각심을 일깨우려 한 것으로 풀이된다.
신용길닫기

김용덕닫기

민간보험사들의 신년사에서도 2018년 보험시장의 험난한 앞날과 이를 대비하는 각자의 체질개선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김창수 삼성생명 사장은 신년사를 통해 “판매채널과 디지털 기술의 빠른 발전은 시장의 판을 송두리째 바꿔 놓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판매채널의 확대와 질적 성장을 완성해야 한다는 당부를 전했다. 여기에 ”고객중심경영을 더욱 업그레이드해 고객으로부터 더 많은 사랑과 신뢰를 받겠다“며 소비자의 중요성 역시 잊지 않았다.
이철영 현대해상 부회장 역시 “미래 환경 변화에 전사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새로운 환경 변화를 지속 가능한 성장의 기회로 삼아 비약적인 발전의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며 IFRS17과 K-ICS 등 새로운 제도에 대비한 체질개선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IFRS17 도입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보험업계 혁신의 바람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하며, “제도 변화는 물론 4차 산업혁명을 비롯한 시장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는 보험사들은 자연스럽게 도태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