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서울 세빛섬에서 열린 카카오뱅크 출범식에서 이용우 공동대표(사진 좌측), 윤호영 공동대표(사진 우측)이 서비스 PT를 하고 있다.
이용우닫기

카카오뱅크를 준비한 지 2년, 그동안 "금융권, 정보통신기술(ICT)은 전혀 다른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됐다고 설명했다. 개인정보, 예금자보호, 정보보호 등을 두고 은행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서로간의 논쟁이 이어졌다고 했다.
이용우 공동대표는 "기존 은행 프로세스를 다시 생각했고, 요구의 목적에 맞추려면 '반드시 이 방법을 써야 하나?', '다른 방법은 있지 않나?' 했다"며 "그 재해석의 결과가 오늘 카카오뱅크를 탄생시켰다"고 했다.
'모바일 최우선'으로 간단한 상품 구성, 간편한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도 했다. 윤호영닫기

공인인증서를 없앤 점도 보안 측면에서 염려할 요소가 아니라고 짚었다. 이용우 공동대표는 "카카오뱅크 코어 뱅킹 시스템에 처음 설계부터 아키텍쳐를 보안 관점에서 설계했다"며 "단지 공인인증서가 없는 것처럼, 고객의 눈에만 보이지 않을 뿐이다"고 말했다. 윤호영 공동대표도 "카카오뱅크는 금융권에서 가장 까다롭다는 은행업 라이센스를 획득했다"며 "또 PC보다 모바일이 사실 훨씬 더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이용우 공동대표는 "고객 여러분들이 '불편하다', '잘못됐다' 항상 말씀해주셔야 한다"며 "새겨 듣고 다시 해석해서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해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이진복 정무위원회 위원장을 비롯 민병두 의원, 유의동 의원, 김관영 의원 등 정무위 간사가 자리를 함께 했다. 이들은 국회에서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은산분리'(산업자본의 은행 지분 소유 규제) 완화를 논할 수 있도록 "혁신적 상품과 서비스를 선보여 달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