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손보는 27일 내달 열리는 주주총회 소집 공고를 발표하며 수권자본 주식수를 2억주에서 3억주로 늘리는 정관변경 안건을 상정했다.
수권자본은 신주발행의 권한이 부여된 이사회에서 증자할 수 있는 주식총수나 주금 총액을 가리키며, 주총 승인이 필요한 정관에 기재된다.
한화손보는 지금껏 1억2169만주의 주식을 발행해 아직 8000만주(액면가 기준 4000억원) 가량의 발행여력이 남아있는 상태다. 그러나 2021년 IFRS17 도입을 앞두고 올해부터 금융당국이 RBC 규제 강화에 나선 것에 발맞춰 만일의 경우를대비해 자본금 확충 범위를 확대하려는 일환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화손보의 이같은 행보 뒤에는 보험업계 전반에 대두된 자본확충 이슈가 자리한다. 보험사들은 올해 상반기 IFRS17 기준안 발표에 대비해 금융당국이 내놓은 부채 듀레이션 확대 규제 강화에 발맞춰야 한다.
특히 한화손보는 지난해 말 RBC(지급여력비율)이 금감원 권고 수준인 150%에 근접해 추가적인 자본 확충이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전해져 일각에서는 "증자가 임박한 것 아니냐"고 내다보기도 했다.
한화손보 관계자는 이에 대해 "통상적으로 주주총회는 년 1회 개최되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범위를 늘리려는 것"이라며 "당장 증자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한화손보는 지난 2011년에 이어 2012년 6월 9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해 자본을 확충했다. 2013년 말에는 액면가 이하의 발행가격에도 불구 1570억8000만원 규모의 유상 증자를 단행했고, 지난해 6월 1280억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했다. 2010년 이후 4100억원이 넘는 자본확충이 이뤄진 셈이다.
자본확충은 보험업계의 공통적인 이슈로 삼성화재를 제외한 대부분의 보험사들이 후순위채 발행이나 유상증자 등의 방법으로 곳간을 채워왔다. 최근 2016년 실적 설명회(IR)를 진행한 동부화재도 "금리 인상으로 인한 RBC비율 하락을 대비해 후순위채 발행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민경 기자 aromom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