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프레시웨이는 4일 올해 2분기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5.3% 증가한 597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이익은 전년대비 104억원 증가한 794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기존 최대 매출 실적이었던 지난해 4분기 매출액(5465억원)을 뛰어넘는 수치로 회사 창립이래 최대이다.
이와 함께 반기 매출액도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선 1조 132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 증가에 따른 매출이익도 사상 최대실적을 달성했으나, 영업이익은 미래성장을 위한 선 투자비용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한 91억원으로 나타났다.
CJ프레시웨이는 영업이익이 감소한 이유로 미래성장을 위한 선 투자로 핵심인력 확보를 위한 인건비와 IT선진화를 위한 인프라 투자 비용 의 증가를 꼽았다.
CJ프레시웨이 측에 따르면 글로벌 인력·상품담당 인력·영업 인력은 지난해 대비 약 148명이 증가했다.
하지만 주력사업인 식자재 유통부문과 단체급식 부문의 매출액이 두 자리 수 이상 성장을 지속하고 있어, 하반기에는 수익성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설명이다.
CJ프레시웨이의 성장세에는 주력사업인 식자재 유통의 자회사인 프레시원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프레시원의 2분기 매출액은 1467억원으로 전년비 약 16.3%신장했다.
이 상태를 유지한다면, 연내 연결법인 8개 자회사가 흑자구조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전망이다.
뿐만 아니라 외식 경로의 매출액도 상승세를 보였다. 우수한 영업인력을 통해 신규 수주율을 높여, 전년비 외식경로 매출 및 거래처 수도 각각 12%, 24%가 증가했다.
단체급식 분야에서는 산업체·오피스·병원·골프장 등의 경로에서 고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상반기 동안 시장에 나온 신규 물건의 약 3분의 1을 수주했다.
단체 급식 사업의 경우 신규 수주만큼 중요한 것이 기존 고객 유지율인데, CJ프레시웨이의 기존고객 유지율은 약 97%에 달한다.
CJ프레시웨이는 경기가 급강한 후 좀처럼 회복을 못하는 L자형 경기가 장기화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으로 신규 수주를 늘려갈 계획이다.
또한 프레시원의 견조한 성장과 중국과 베트남 중심의 글로벌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하반기 목표 달성을 위해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한편 CJ프레시웨이는 지난달 글로벌 급식 기업인 ‘아라마크’와 손을 잡았다.
CJ프레시웨이는 이번 계약을 통해 아라마크가 운영하고 있는 국내 단체 급식 사업장에 연간 200억 규모의 식자재 공급을 진행할 예정이며, 연간 140억 원 규모의 물류대행 서비스도 제공하기로 했다.
미국에 본사를 둔 아라마크는 연 매출 17조에 달하는 세계 3대 푸드서비스 기업으로 전세계 21개 국가에 지사를 보유하고 있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