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A는 머니마켓펀드(MMF)와 함께 단기 자금이 운용되는 대표적 금융상품 중에 하나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증권은 이날부터 개인·법인 환매조건부채권(RP)형 CMA 금리를 연 1.35%에서 1.10%로 0.25%포인트 내렸다.
삼성증권 외에 대부분의 증권사들도 이날부터 CMA 금리를 기준금리 인하폭(0.25%포인트)에 맞춰 조정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개인·법인 RP형 CMA 금리를 연 1.15%로, NH투자증권은 연 1.10%로 각각 낮췄다. 현대증권 또한 RP형 CMA 금리를 연 1.40%에서 1.15%로 내렸다. 머니마켓랩(MMW) 금리도 개인은 연 1.20%, 법인은 연 1.15%로 인하됐다.
아직 금리를 조정하지 않은 다른 증권사들도 오는 13일까지 단기상품 금리를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 대신증권과 미래에셋대우는 CMA 금리를 13일부터 0.25%포인트 낮춰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증권사들이 CMA 금리를 하향조정하는 것은 전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25%로 인하했기 때문이다. CMA는 돈을 하루만 넣어도 시중은행 자율입출금식 통장보다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어 대기성 자금을 단기적으로 굴리는데 이용된다.
투자자가 CMA에 자금을 넣으면 증권사는 이 자금을 국공채, 우량 회사채, 한국증권금융 예치금, 콜(단기 자금대차) 등에 투자해 수익을 올린 후 약정이자를 지급한다. 증권사들은 기준금리가 내려 투자대상 상품의 금리가 연동되기 때문에 CMA 금리를 낮출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는 CMA 금리가 낮아진다 해도 잔고가 크게 줄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로 인해 은행 예·적금 금리도 동시에 낮아질 예정이라 고객들이 다른 상품으로 전환할 요인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저금리 기조의 장기화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늘언나고 있는 가운데 CMA 계좌 잔액도 증가 추세에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4월 18일 CMA 잔고는 52조6358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