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기술(IT) 발전과 온라인 주식거래 확산 등으로 증권사의 인력 감축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진다.
6일 금융투자업계와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 직원은 작년 9월 말 기준 3만609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1년 말 4만4060명과 비교하면 7964명이나 감소한 것이다. 증권사의 지점과 영업소는 같은 기간 1856개에서 1217개로 639개 사라졌다.
최근 몇 년 간 증권사 인력이 감소한 요인으로는 IT의 발달로 증권 기본 업무인 주식 약정 영업이 축소되고 합병에 따른 구조조정이 활발해진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증권업계에서 소매 증권영업 인력과 지점이 줄어드는 것은 미국과 유럽,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볼 수 있는 추세라는 분석이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인터넷의 발달과 영업비용 축소 움직임, 저금리·고령화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증권사의 인력감축은 더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중대형사는 몸집을 더 늘리고 소형사는 주식매매 플랫폼 등 강점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차별화하고 있다. 증권사간 인수·합병(M&A)과 핀테크 등 온라인 거래 문화가 더 확산하면 증권맨 감축도 가속화할 전망이다.
한화투자증권은 푸르덴셜증권과의 합병에 따라 2013년 말 350여명의 희망퇴직을 받았으며, 지점 수도 작년 말 54개로 2년 전보다 32개 감소했다.
작년에도 메리츠종금증권으로 피인수된 아이엠투자증권이 희망퇴직을 통해 40여명을 내보냈고 NH투자증권은 옛 우리투자증권과 NH농협증권 간 합병 과정에서 모두 600여명의 회망퇴직을 받았다.
삼성증권과 하나금융투자, 신한금융투자 등도 비용 감축을 위해 희망퇴직을 통한 감원을 단행했다.
하나금융투자는 2014년과 작년에 모두 200여명을 희망퇴직을 통해 내보냈고 신한금융투자는 2013년과 작년에 각각 92명과 30여명의 희망퇴직을 받았다.
김지은 기자 bridg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