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금융위원장(가운데)이 2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과 관련한 대응방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제공=금융위원회(2023.12.28)
이미지 확대보기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태영건설은 올해 3분기 말 기준 1조 4942억원, 단기차입금 6608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국내 은행권이 태영건설에 빌려준 자금은 장기차입금 4693억원과 단기차입금 2250억원 등 총 7243억원이다. 장기 차입금에는 일반·시설 자금 대출과 부동산 PF 대출이 포함된다.
은행별로 보면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PF 대출 1292억 원, 단기차입금 710억 원 등 총 2002억원으로 가장 많은 채권을 보유했다. 이어 국민은행은 PF 대출 1500억원과 단기차입금 100억원 등 1600억원, IBK기업은행 PF 대출 996억원, 우리은행은 단기차입금 720억원을 각각 빌려줬다.
국민은행 측은 “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서를 100% 담보로 임대주택 개발사업을 하는 태영건설 계열사에 지급된 PF 대출이며 사실상 완공됐고, 분양 계약률도 95% 이상”이라며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이 이 사업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신한은행은 PF 대출 436억원과 단기차입금 200억원 등 636억원을, 하나은행은 PF 대출 169억원과 단기차입금 450억원 등 619억원의 대출을 내줬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전날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과 관련해 “워크아웃을 신청한 사유, 정상화를 위한 태영건설과 태영그룹의 자구계획을 검토해 워크아웃 개시를 위한 1차 금융채권자협의회를 소집 통지했다”고 밝혔다.
산은은 내년 1월 11일까지 워크아웃 개시를 위한 결의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협의회에 앞서 1월 3일에는 태영건설의 경영 상황, 자구계획, 협의회의 안건 등을 설명하는 설명회를 연다.
태영건설은 여러 PF 사업과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보증채권자 비중이 매우 높다. 정상화를 위해서는 태영건설의 강도 높은 자구노력뿐 아니라 금융채권자·PF대주단 협조가 필수적이다.
워크아웃이 개시되면 채권 행사 유예 등 구조조정이 추진돼 금융기관이 보유한 채권 중 일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은행권 일각에선 당기순이익 감소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에 들어가면 채권 은행은 태영건설의 신용등급 강등에 맞춰 충당금을 추가 적립해야 하고, 이는 순이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전날 수시평가를 통해 태영건설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A-(하향검토)’에서 ‘CCC(하향검토)’로, 기업어음 신용등급을 ‘A2-(하향검토)’에서 ‘C(하향검토)’로 변경했다.
한신평은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에 따라 신용등급을 변경한다”며 “채무조정 과정에서 원리금 감면, 상환유예, 출자전환 등에 따른 원리금 손상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신평은 향후 워크아웃의 개시 여부, 진행 과정, 채권 손상 수준 등을 신용등급에 반영할 예정이다.
이날 한국기업평가도 태영건설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과 기업어음 신용등급을 각각 ‘CCC(부정적 검토)’, ‘C’로 내렸다.
업계에서는 그간 부동산 PF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충당금을 조 단위로 적립한 데다 보증서 대출이 많아 은행 건전성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정부도 전날 관계부처 합동 자료를 통해 “태영건설 관련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해당 금융회사 총 자산의 0.09% 수준”이라며 “익스포저 대부분 도 손실흡수 능력이 양호한 은행·보험업권이 보유 중이며 비은행 금융기관 익스포저도 다수 금융회사에 분산돼 있어 건전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매우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다만 은행들은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을 시발점으로 PF발 위기가 확산될 경우 중소 건설사 줄도산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전체 PF 사업장별 분양 및 공정 현황, 공사비 확보 현황 을 수시로 살피고 사업장별 시공구조 등 상황별 시나리오 예측과 분석도 실시 중이다.
정부는 금융기관이 PF 사업장별 사업성 등을 감안해 보다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도록 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추진 상황에 따라 부동산 PF 시장 및 금융권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