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은석 CJ제일제당 대표
CJ제일제당(대표 최은석닫기

최은석 CJ제일제당 대표는 "지난해 글로벌 영토 확장을 위한 초석을 다졌다면, 올해는 그룹 4대 성장엔진인 C.P.W.S(Culture 문화, Platform 플랫폼, Wellness 건강, 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 기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미(未)진출 국가 진입 본격화와 7대 글로벌 전략제품(GSP:Global Strategic Product, 만두/가공밥/치킨/K-소스/김치/김/롤) 중심 혁신 성장을 이루겠다"고 강조했다.
또 미국 시장은 주 유통 채널의 공급력을 확대해 비비고 브랜드 위상을 높인다. 슈완스를 기반으로 프리미엄 제품 라인업도 강화해 피자 시장 1위에 도전한다.

지난해 7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CJ제일제당 유럽 중장기 성장 전략 회의에서 최은석 대표이사를 비롯한 주요 경영진들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CJ제일제당
이미지 확대보기지난해 영국 법인을 설립하고 사업을 시작한 유럽은 핵심국가인 독일과 영국을 중심으로 만두를 대형화한다. 아시안 메뉴 포트폴리오와 김스낵 등 차별화한 제품 라인업도 폭 넓게 갖춰나간다. CJ제일제당 측은 "오는 2025년까지 서유럽 시장에서 기방르 다진 후 장기적으로 유럽 전역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일본 시장은 1000억원대 브랜드로 성장한 과일 발효초 '미초'의 시장 지위를 강화하는 한편 비비고 만두 등 HMR(가정간편식) 제품을 적극 육성한다. 특히 '미초'의 경우 올해는 RTD(Ready To Drink)으로 다양한 맛과 형태를 선보이고 유통 채널을 다양화한다. 이와 함께 건강 콘셉트의 한식 레디밀 등 K-푸드 중심 사업 대형화도 추진한다.

한국, 미국, 유럽아태, 일본 외에도 CJ제일제당은 K-푸드 영토를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에 북미는 캐나다, 아태지역은 호주, 태국, 말레이시아·인도네시에아 우선 진입한다./사진제공=CJ제일제당
이미지 확대보기먼저 북미시장의 경우 미국 사업 인프라를 활용해 인접 국가인 캐나다로 진출한다. 만두와 가공밥 등 아시안 푸드를 앞세워 메인 채널을 공략한 뒤 단계적으로 생산 거점도 확보한다.
육류가 들어간 제품 수출이 어려운 호주는 현지에 만두 생산 거점을 확보하고 대형 유통채널 입점을 추진한다.
태국은 이미 생산 역량을 갖춘 베트남과 지리적 인접성을 최대한 활용해 공격적인 사업 확장에 나선다. 특히 태국이 K-컬쳐 확산의 중심 국가라는 점에서 케이콘(KCON), 마마(MAMA) 등 K-콘텐츠를 적극 활용해 비비고 인지도를 높이는데 주력한다.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는 현지 생산 역량을 확보해 글로벌 할랄 시장 전체를 포괄하는 'K-할랄 전진기지'로 육성하나는 계획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이재현닫기

나선혜 기자 hisunny20@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