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크는 ‘신용점수 올리기’ 서비스를 마이데이터 기반으로 개편했다고 27일 밝혔다. 핀크는 신용점수 상승에 유리한 정보를 신용정보회사인 KCB에 전송해 가점을 부여 받는 방식으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신용점수 향상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했다.
기존 서비스는 국민연금·건강보험·소득금액증명 등 공공정보와 SKT의 이용내역을 활용했었다면 개편된 서비스는 기존 공공정보에 마이데이터로 수집한 통신3사와 은행(계좌), 보험 거래내역을 새롭게 추가해 고객 선택지를 넓혔다. 공공정보와 마이데이터 항목 중 개인 상황에 맞는 것을 선택해 제출하면 된다.
고객이 신용점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UX/UI도 대폭 개선했다. 신용점수를 조회하면 점수에 따른 ▲신용조회건수 ▲신용변동내역 ▲백분위(상위%) ▲신용카드 발급률 ▲대출 이자율을 제공한다.
또한 개인의 신용점수 분석을 통해 보고서를 제공해 체계적인 신용관리를 지원한다. 신용점수 기반으로 변동 히스토리와 동일 성별·연령대 및 전국민 평균점수 비교, 신용관리 코칭 등을 제공한다.
핀크는 신용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신용카드와 대출, 연체, 보증 사용현황도 분석해 보여준다. 신용카드와 대출 사용정보를 동일 집단의 평균 값과 비교해 자신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권영탁 핀크 대표는 “잇따른 금리 인상에 소비자들의 대출 이자를 조금이라도 낮출 수 있도록 ‘신용점수 올리기’를 개편했다”며 “일정한 수입이 없거나 금융 이력이 부족한 사람들도 포용할 수 있도록 마이데이터를 연계해 통신3사·은행·보험 등으로 제출내역을 다양화했다”라고 밝혔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