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노경탁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TCL에 대한 미국의 제재가 이뤄질 경우, 중가제품 군 내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수혜가 클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국토안보부(DHS)는 중국 TCL이 생산한 TV의 사용자 프라이버시 침해 및 데이터 유출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에 중국 TCL에 대한 제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 연구원은 “TCL이 제재 대상에 오를 경우 미국 기업과 거래 시 미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라며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TCL의 최대 판매국인 미국에서의 판매 차질이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TCL은 연간 2000만대 규모의 TV를 판매하는 글로벌 3위 제조사로, 연간 매출액은 약 63억달러”라며 “정체된 TV 시장 속에서 매년 15% 이상의 TV 판매 증가를 보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TCL의 가격대별 매출 비중은 400~750달러 중가제 28%, 300달러 이하 저가제품 67%를 차지하고 있다”라며 “미국의 제재가 이루어질 경우, 올해 기준 37%에 달하는 미국 판매가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중가제품 군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수혜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저가제품 군에서는 삼성전자와 Vizio, Hisense가 TCL의 수요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라고 덧붙였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