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TIMES 대한민국 최고 금융 경제지
ad

예탁결제원, 기업지원활동 박차…사회적·창업·중소기업과 상생

정선은 기자

bravebambi@

기사입력 : 2024-05-22 17:15

수수료 감면·저리 대출 공급 등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제공= 한국예탁결제원

제공= 한국예탁결제원

[한국금융신문 정선은 기자] 한국예탁결제원(사장 이순호닫기이순호기사 모아보기)이 사회적기업, 창업·중소기업 등 기업 지원 활동에 힘을 쏟고 있다.

22일 예탁원에 따르면, 예탁원 등 부산 소재 9개 기관이 조성한 '부산경제활성화지원기금(BEF)'은 2018~2022년 기준(2023년 미확정) 누적 금액은 51억7000만원이다. 이 중 예탁원은 2023년 1억3000만원을 포함, 6년간 총 7억8000만원을 출연했다.

BEF 1기는 2018~2022년 부산 소재 사회적기업, 협동조합의 자금조달 및 판로확대 등을 지원했다. 도입기, 안정기, 성장기 단계 별로 지원 실적을 보면, 금융지원 116개사, 크라우드펀딩 74개사, 경영컨설팅 110개사였다.

BEF 2기(2023년 8월~2024년 8월 기준)는 부산지역 중소·중견기업 지원 및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도모한다. 2022~2023년 기준 BEF X B.Startup PIE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에 총 110명, 중소기업 ESG 혁신 바우처 지원사업에 52명의 고용이 창출됐다.

아울러 BEF 소셜더하기 프로젝트 지원사업도 이뤄졌다.

고용노동부 지정 일자리으뜸기업 및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예탁원의 7개 서비스 수수료도 감면했다. 2018년 11월부터 2023년 12월말까지 누적 기준 수수료 감면액은 20억5200만원이다.

창업·중소기업 지원에도 힘을 실었다.

IBK기업은행과 200억원 규모의 대출 풀(pool)을 조성해 창업·중소기업에 저리 대출을 지원했다.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우수기업, 예탁원 서비스 이용기업 등 중소기업 205개사에 누적 약 337억원(2019년 9월~2023년 6월)의 대출을 공급했다.

지역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5개 지역(대전, 대구, 광주, 강원, 제주) 창업 초기 기업에 맞춤형 액셀러레이팅을 지원하는 'K-Camp'를 운영했다. 2023년 178억9000만원의 투자 유치, 133명의 일자리 창출을 달성했다.

KSD 혁신창업-스케일업 지원 펀드를 지난 2021년 조성해 혁신·창업기업의 투자유치 및 스케일업도 지원했다. 부·울·경 지자체, 한국성장금융, 은행권청년창업재단과 공동펀드를 조성하고 운용했다. K-크라우드펀드 200억원, 지역 벤처투자 펀드 50억원 규모다.

예탁원 등 8개 기관은 부산지역 혁신·창업생태계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BIGS(Busan Innovation Ground for Start-ups)' 사업도 추진했다. 공유오피스 지원 및 맞춤형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2022년 BIGS 1기(24개사)의 경우 매출 215억800만원, 투자 72억5600만원, 신규고용 102명 등의 실적을 냈다.

또 2023년 BIGS 2기 수료기업(21개사)의 경우, 매출 224억8200만원, 투자 98억7600만원, 신규고용 207명을 기록했다.

아울러 사회투자펀드(2018년), 코스닥스케일업펀드(2018년), 증권시장안정펀드(2020년) 등 다양한 정책펀드를 지원했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오늘의 뉴스

ad
ad
ad
ad

한국금융 포럼 사이버관

더보기

FT카드뉴스

더보기
[카드뉴스] 국립생태원과 함께 환경보호 활동 강화하는 KT&G
[카드뉴스] 신생아 특례 대출 조건, 한도, 금리, 신청방법 등 총정리...연 1%대, 최대 5억
[카드뉴스] 어닝시즌은 ‘실적발표기간’으로
[카드뉴스] 팝업 스토어? '반짝매장'으로
[카드뉴스] 버티포트? '수직 이착륙장', UAM '도심항공교통'으로 [1]

FT도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