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 사진제공=카카오

앞서 김 센터장은 지난 13일 새벽 경기 성남시 카카오모빌리티 본사에서 3차 카카오 공동체 비상경영회의를 주재했다. 1·2차 회의를 카카오 판교아지트에서 진행한 것과 달리 3차는 카카오모빌리티 본사로 회의 장소를 옮겼다. 최근 윤석열닫기

같은 날 오후 카카오모빌리티는 서울 강남구에서 택시 4단체와 간담회를 열고 플랫폼 택시 수수료 문제와 독과점 논란에 대한 해결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성남에서 가맹택시 업계 대표와 만났다. 간담회에는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를 비롯해 안규진 사업부문총괄 부사장과 이동규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간담회를 마치고 밤늦게 입장문을 통해 가맹 수수료 3% 이하의 신규 가맹 상품을 연내 내놓겠다고 밝혔다. 현재 5만명 이상 기사가 참여해 구축된 기존 가맹 시스템 체계를 일괄 변경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 저렴한 수수료가 적용된 새 가맹 시스템으로 기사 부담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가맹 택시 기사가 내는 실질 수수료는 최대 5% 수준이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자회사 케이엠솔루션을 통해 가맹 택시 운행 매출의 20%를 수수료로 받고, 그중 15~17%를 운행 정보 제공·마케팅 참여 등 업무제휴 명목으로 돌려주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서다. 다른 가맹택시인 우티나 타다 등은 2~3% 수준의 수수료를 일괄 적용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 과정에서 기존 가맹 택시 참여자들에게도 신규 가맹 택시로 전환할 수 있는 선택권을 보장할 계획이다. 또 가맹 택시와 일반 호출 택시의 차별 없는 배차를 위해 연말까지 새로운 택시 매칭 시스템 구축 방안을 마련한다.
이날 카카오모빌리티와 택시4단체는 택시발전 상생협의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양측은 추가 간담회를 열고 가맹 운영구조 변경, 수수료 체계·수준, 공정 배차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류긍선 대표는 “매칭 시스템의 투명성을 높이고 사회적인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주은 기자 nbjesu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