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보안원은 15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3층 불스홀에서 ‘개인(신용)정보보호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금융권의 개인정보 보호 현황을 점검하고, 실무 개선방안 및 대응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고 팀장은 정보주체가 정보를 예측하고, 처리자가 법적 리스크에 대응할 수 있으며 감독당국의 제재 및 글로벌 규범 부합에도 효과적이라며 처리 목적 구체화의 필요성을 4가지로 정리했다.
특히 처리 목적이 불명확할 경우 내부에서 자의적 해석이나 과도한 이용 차단 등 오남용이 발생할 여지가 크고, 감독당국 제재 시 동의서·처리방침과 실제 활용 내용 간 불일치 여부가 점검 포인트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국제 기준 부합 측면에서도 GDPR, OECD 프라이버시 가이드라인 등은 모두 명확한 처리 목적 명시를 핵심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다.
고 팀장은 실무자 대응 방안으로 서비스 및 상품별 명확한 처리 목적 기재, 개인정보 흐름도 작성, 개인정보 취급자 교육 강화 등을 제언했다.
개인정보 흐름도는 개인정보의 수집, 보유, 이용, 제공, 파기에 이르는 처리 전 과정에서 정보가 처리되는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식화한 자료다. 실제 데이터의 흐름을 명확히 파악함으로써 위법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다.
우선 개인(신용)정보 보호 협의회 운영 계획을 밝혔다. 해당 협의회는 유출사고 및 제재사례 공유, 최신 이슈 분석, 실무협의 기능 강화 등을 통해 금융권의 개인정보 보호 대응 역량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금융권 전용 개인정보 보호 가이드라인 및 안내서 발간, 정기 세미나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상시평가 주요 취약점 공유 등 실무 밀착형 지원도 병행할 계획이다.
우한나 한국금융신문 기자 han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