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치는 이번 신용등급 전망 상향의 이유로 “현대자동차그룹과의 결속력이 강화되면서 모기업인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신용등급 전망 상향에 잇따른 결과”라고 밝혔다. 이어 “특히 자동차금융 사업 비중을 75% 이상으로 유지하는 등 탄탄한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최근 몇 년간 해외시장에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인 점도 이번 신용등급 전망 상향에 한몫했다”라고 덧붙였다.
현대캐피탈은 현대자동차가 지분 59.7%, 기아가 40.1%를 보유하는 등 보유 지분율이 99.8%에 달하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캡티브(전속) 금융사로 현대자동차그룹과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특히 지난 2021년 9월 현대자동차그룹 직할경영 체제로 전환한 후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글로벌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해외 캡티브 금융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캐피탈은 지난 2월 해외 신용평가사인 무디스로부터 신용등급 전망을 Baa1(안정적)에서 Baa1(긍정적)으로 상향했으며 올해 1분기에만 국내외 신용평가사로부터 다섯번이나 신용등급 전망이 오르는 성과를 거뒀다. 지난달 24일에는 나이스신용평가가 현대캐피탈의 선순위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상향 조정했다.
현대캐피탈은 높아진 신용도를 바탕으로 국내외 투자자들의 투자심리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