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 사진제공= 각사
자금시장 살얼음판이 다소 완화되면서 6개월에서 1년 약정 기준 5%대 금리 일색에서 4%대 금리가 다시 나오기 시작했다.
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대표 정일문닫기

개인 기준 181∼270일 약정 금리는 5.30%→5.10%로, 또 271~364일(5.40%→5.15%), 365일(5.50%→5.25%), 적립식(5.60%→5.35%)까지 5%대 중반에서 초반으로 인하됐다.
미래에셋증권(대표 최현만닫기

개인 기준 181~270일(5.10%→4.80%), 271~364일(5.15%→4.85%), 365일(1년)(5.25%→4.90%)로 5%대 초반에서 4%대 후반으로 떨어졌다. 발행어음형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수시형, 31∼180일물 발행어음 금리도 인하됐다.
NH투자증권(대표 정영채닫기

KB증권(대표 박정림닫기


금리 인하 증권사들은 "최근 자금시장 금리를 반영해 발행어음 금리를 조정했다"고 제시했다.
발행어음은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초대형 IB(투자은행)로 지정된 대형 증권사가 자체 신용을 바탕으로 자기자본 200% 내에서 발행하는 만기 1년 이내 단기금융상품이다. 현재 국내 발행어음 가능 증권사는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 총 4곳이다.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지 않으며, 발행사인 증권사의 신용위험에 따라 투자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작년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지고 같은 해 9월 말 레고랜드 사태까지 겹치며 증권사 발행어음 약정 금리도 5%대 일색으로 급격히 올랐던 바 있다. '돈맥경화' 국면에서 대형사도 선제적 유동성 확보가 중요해졌고 발행어음이 주요한 수단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작년 10월 23일부터 정부, 한국은행 등이 잇따라 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대응에 나서면서 연초 현재 채권시장 불안은 진정되고 있다. 급격히 올랐던 단기자금 시장 금리가 다소 꺾이면서 발행어음도 정상화 차원 금리인하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CP(기업어음) 91일물 금리는 지난 1월 6일 종가 기준 5.010%로 집계됐다. CP금리는 2022년 첫 거래일 연 1.55%로 출발해 연말 12월 9일 5.54%까지 찍고 2023년 초 여전히 높지만 5% 초반에 형성돼 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