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들이 빚을 내 주식을 살 때 적용하는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이 오르면서 '빚투(빚내서 주식투자)' 개인투자자들에게 비상등이 켜졌다.
3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투자(대표 이영창, 김상태닫기


신한금융투자는 융자 기간 7일 이내 이자율을 연 4.75%로 0.25%p(포인트) 올린다. 8~15일(7.25%), 16~30일(7.65%) 이자율도 인상한다.
DB금융투자는 전 구간에 걸쳐 이자율을 0.20%p 인상하기로 했다. 또 메리츠증권도 이자율을 0.10%p 올린다.
이미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을 높인 증권사들도 속속 나왔다. 유안타증권도 지난 5월 23일부터 이자율을 구간 별로 0.25%p 올렸고, 대신증권은 지난 5월 6일자로 융자 기간 8일 이상에 대해 이자율을 0.5%p 인상했다.

사진출처= 픽사베이
한은은 지난 2021년 8월부터 최근 2022년 5월까지 다섯 차례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이 기간 한은 기준금리는 연 0.5%에서 1.75%까지 올라섰다.
증권사는 대개 신용융자 금리 설정 때 양도성예금증서(CD), 기업어음(CP) 금리 등을 기본금리로 해서 가산금리를 얹는데, CD 91일물을 보면 작년 8월 하순 한은 기준금리 인상 이전 연 0.77%가 현재 1.96%까지 올라 상승 압력이 높다.
신용거래는 보통 단기 이용 투자자들이 많아 단기 이자율에 초점을 맞출 수 있지만, 하락장에서는 의도와 달리 장기투자로 가는 경우도 많이 나올 수 있어서 이자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게 증권업계 설명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신용거래융자잔고(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는 2022년 5월 26일 기준 21조6652억원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