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10일 발표한 ‘2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9조50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2월 대비로는 8.5% 늘었다.
가계대출 증가액은 지난해 11월 18조7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찍은 뒤 12월 8조8000억원으로 큰 폭 꺾였으나 올해 1월 10조1000억원으로 다시 늘었다. 지난달에는 주식 관련 자금 수요가 줄면서 증가폭이 다시 축소됐다.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003조1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6조7000억원 늘었다. 은행권 가계대출이 1000조원을 돌파한 것은 사상 처음이다. 증가폭은 1월(7조6000억원)보다는 소폭 줄었지만 역대 2월 기준 지난해 2월(9조30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은행권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6조4000억원으로 전월(5조원) 대비 크게 늘었다. 특히 전세자금대출 증가폭이 3조4000억원으로 1월(2조4000억원)보다 1조원 불었다.
박성진 한국은행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전세시장 가격도 영향을 줬을 수 있지만, 2월이 신학기닫기

은행권 기타대출 증가액은 3000억원으로 전월(2조6000억원)보다 큰 폭 줄었다. 주식 관련 자금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신용대출이 전월에 비해 143억원 줄었다. 1월 2조3000억원 증가에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박 차장은 “지난달 설 상여금 지급으로 가계에 자금이 유입됐고, 2월 주식시장 조정 압력으로 개인들의 주식투자가 둔화한 점이 신용대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며 “금융당국의 신용대출 규제와 은행들이 자체적인 리스크 관리를 위해 대출 태도를 강화한 요인도 있다”고 말했다.
2금융권의 2월 가계대출 증가폭은 2조8000억원으로 1월과 같았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1조3000억원으로 전월보다 4000억원 늘어난 반면 기타대출 증가액은 1조5000억원으로 4000억원 줄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3월 중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마련해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