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 픽사베이
1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각 생명보험사들이 잇따라 예정이율 인하에 나서면서 종신보험의 예정이율은 최저 1%대까지 떨어졌다. 예정이율은 보험사가 종신보험 등 장기 보험 적립금에 적용하는 이자율이다. 예정이율이 낮아지면 같은 보험금을 받기 위해 내야 하는 보험료가 올라가고, 반대로 예정이율이 높아지면 보험료가 내려간다. 보험업계에선 예정이율이 0.25% 내리면 보험료는 7∼13% 오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생명보험사들은 저금리 기조에 따른 역마진을 이유로 두 차례가량 예정이율을 내렸다. 삼성생명은 지난해 4월에 2.5%에서 2.25%로, 이후 11∼12월에 2.0%로 내렸다. 한화생명도 4월에 2.5%에서 2.25%로, 7월에 2.0%로 다시 하향 조정했다. 교보생명은 4월에 2.5%에서 2.25%로 내렸고, 10월 2개 종신보험에 대해 0.25%를 추가로 하향 조정했다.
신한생명은 지난해 두 차례 내려 현재 예정이율이 2.25% 수준이다. 오렌지라이프는 작년 4월에 정기 보험의 예정이율을 2.35%로 내린 데 이어 이달 1일 자로 2.10%로 다시 낮췄다. 오렌지의 종신보험 예정이율은 작년 4월에 2.25%로, 다시 11월에는 1.95%까지 떨어졌다. ABL생명도 올해 예정이율을 2.25%로 하향했다.
통상 보험사들은 1년에 평균 한 차례 미만 예정 이율을 변경해 왔다. 연간 두 차례 인하는 이례적이다. 저금리를 이유로 연간 두 번이나 예정 이율 조정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시장 금리는 국고채 3년물 기준 금리가 작년 7월 평균 0.83%에서 지난달 평균 0.97%를 기록하는 등 지난해 말 상승세로 돌아섰다. 생보사들은 예정이율 인상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 올해 예정이율 추가 인하방안을 검토 중인 일부 생보사들은 시장금리 동향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등을 고려해 인하 시기를 조율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형 생보사들은 올 상반기에는 장기보험 보험료를 대체로 동결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시장 금리가 올랐다고는 해도 국채 10년물이 1.6∼1.7% 수준으로, 과거 고금리 시절 판매한 장기 보험의 역마진 문제는 심각하다”며 “당장 예정이율을 변경하는 데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유정화 기자 uhw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