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권학회는 24일 '주식형 공모펀드의 활성화' 온라인 정책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주제발표를 맡은 고광수 부산대 경영대학 교수는 국내 주식형 공모펀드의 침체 요인에 대해 신규 펀드 선호 분위기와 펀드 소규모화, KPI 위주의 판매, 운용사의 개척 의지 부족 등을 꼽았다.
고광수 교수는 주식형 공모펀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펀드 개수를 줄이고 규모를 늘려 운용 능력과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며 "판매자의 상품 이해도도 높여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 고도의 분산투자로 글로벌 펀드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고광수 교수는 "전 세계 포트폴리오 펀드를 개발하면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의 투자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도 운용사와 판매사가 신뢰를 되찾으려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날 패널토론에서 조준환 한국투자신탁운용 상무는 "업계가 단기 성과와 트렌디한 상품 판매에 급급하고 운용 역량을 갖추지 못한 채 신상품을 수시 판매하면서 공모펀드 외면을 초래한 측면이 있다"며 "신뢰를 되찾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 개회사에서 안희준 한국증권학회 회장은 "무분별한 직접투자는 시장 변동성을 키울 수 있고 침체기에 큰 투자자 피해를 초래할 수도 있다"며 "주식형 공모펀드 활성화는 자본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