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이나 마트에 가면 많은 제품이 싸게 팔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일이라는 글자가 여기저기에 붙어 있다. 보너스, 마트처럼 세일도 어느새 우리말 속에 들어와서 마치 우리말인 양 쓰인다. 너무 흔히 써서 외래어라고 느끼기 힘들 정도다.
세일(sale)은 ‘할인판매’라는 쉬운 우리말이 있는데도 워낙 백화점, 마트 등 공급자 측에서 세일이라고 광고까지 하니 우리말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물론 10% 할인, 20% 할인, 대폭할인이라는 말은 쓰인다. 보너스나 마트는 국립국어원에서도 우리말 대안을 아직 제시하지 않고 있지만 세일은 ‘할인판매’로 쓸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할인, 세일에 해당하는 순우리말 ‘에누리’도 요즘 잘 쓰이지 않고 있다. 과거에는 시장에서 “에누리 없는 장사가 어디 있느냐”며 깎아달라고 했는데 요즘은 자동으로 에누리가 돼 있다.
소득이 증가하고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활성화하면서 에누리는 당연한 것이 되었고 백화점이나 마트에는 언제나 ‘세일’이라는 말이 붙어 있다.
온라인 상점에서는 할인이 상시화해 있어 할인이 안 된 상품은 거의 팔기 힘들 정도가 되었다.
세일과 관련된 말들을 보면 세일도 다 같은 세일이 아닌 듯하다. 바겐세일(bargain sale)은 우리말로 ‘할인판매’, ‘특가판매’이다.
클리어런스 세일(clearance sale)은 깨끗이 청소하듯 판매한다는 의미에서 ‘재고 할인’, ‘재고 할인 판매’가 쉬운 우리말이다.
그랜드 세일(grand sale)은 ‘대규모 할인’, 노 세일(no sale)은 ‘비매품’이나 ‘정가 판매’를 말한다.
![[오늘의 쉬운 우리말] 클리어런스 세일 ‘재고 할인 판매’](https://cfn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0101113171001657c1c16452b012323473.jpg&nmt=18)
※ 한국금융신문은 국어문화원연합회와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을 함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