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각 오후 12시50분 기준, 국내 코스피지수는 전장보다 0.2% 높아진 수준이다. 초반 미 주가지수선물 하락을 따라 레벨을 낮추다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발표 이후 반등했다. 이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13명으로 사흘 연속 10명 내외를 유지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 강세로 오전장을 마쳤다. 이날 인민은행은 올해 들어 두 번째 LPR 인하를 단행했다. 1년물 LPR을 4.05%에서 3.85%로 20bp(1bp=0.01%p), 5년물은 4.75%에서 4.65%로 10bp 내렸다. 중국 재무부는 단기간 안에 1조위안 규모 특수목적채를 추가 발행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홍콩 항셍지수는 0.2% 오름세다. 반면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1% 내린 수준이다. 3월 수출이 예상보다 큰 감소폭을 기록, 지수 낙폭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호주 ASX200지수는 1.2% 하락 중이다. 국제유가 폭락 여파를 반영한 움직임이다.
미 주가지수선물은 0.2% 내외로 동반 하락하고 있다. 미국 내 사망자가 4만명을 돌파한 상황에서 경제봉쇄 해제를 두고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주지사들도 도널드 트럼프닫기

미 서부텍사스원유(WTI)는 배럴당 15달러대로 추락, 21년 최저치로 미끄러졌다. 주요감산동맹(OPEC+)의역대급 규모 감산합의에도 코로나발 수요위축 및 글로벌 공급과잉에 따른 저장공간 부족 우려가 여전히 큰 탓이다. 아시아 거래시간, WTI는 16% 폭락한 배럴당 15.43달러에 거래 중이다. 대니얼 하인즈 ANZ 애널리스트는 미 경제방송 CNBC 인터뷰에서 “미국 원유시장 상황이 꽤 암울하다”고 평가해 유가 낙폭이 한층 커졌다.
역외시장에서 중국 위안화는 미 달러화 대비 소폭 약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위안화 가치는 중국 금리인하 여파로 하락 압력을 받고 있으나, 상하이지수가 반등한 덕분에 추가 하락은 제한돼 있다. 달러/위안 역외환율은 0.07% 오른 7.0834위안에 호가 중이다. 위험회피에 가까운 시장 분위기 속에 달러인덱스는 소폭 강세다. 같은 시각,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인덱스는 0.11% 높아진 99.89 수준이다.
장안나 기자 godbless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