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37.27포인트(1.22%) 높아진 2만8,015.06을 기록했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28.48포인트(0.91%) 상승한 3,145.91을 나타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85.83포인트(1.00%) 오른 8,656.53에 거래됐다.
주간으로는 S&P500지수가 0.2% 오른 반면, 다우와 나스닥은 0.1%씩 내렸다.
S&P500 11개 섹터 가운데 10개가 강해졌다. 에너지주가 2%, 금융주가 1.4% 각각 올랐다. 산업주는 1.3%, 정보기술주는 1.1% 각각 상승했다. 유틸리티주만 0.2% 낮아졌다.
개별종목 중 JP모간과 씨티그룹이 시장금리를 따라 2% 이내로 상승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1.6% 높아졌다.
뉴욕주식시장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7% 내린 13.5를 기록했다.
■뉴욕주식시장 주요 재료
지난달 미 신규 고용이 예상을 대폭 상회, 지난 1월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제너럴모터스(GM) 파업 노동자들 업무 복귀 효과가 일부 반영된 움직임이다. 실업률이 약 50년 만에 최저로 재차 낮아진 가운데 임금 상승률 역시 예상을 웃돌았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11월 비농업 취업자 수는 26만6000명 증가했다. 시장에서 기대한 18만명을 대폭 상회하는 결과다. 민간 고용이 25만4000명 늘어난 가운데, GM 파업 근로자 복귀 영향으로 제조업 고용이 5만4000명 증가했다. 앞선 두 달 기록도 총 4만1000명 상향 수정됐다. 최근 3개월간 비농업 취업자 수가 월평균 20만5000명 속도로 증가한 셈이다. 11월 실업률은 3.5%로 0.1%포인트 내려 다시 1969년 이후 최저를 나타냈다. 같은 달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년비 3.1% 올라 예상치 3.0%를 넘어섰다. 전월 상승률은 3.0%에서 3.2%로 상향됐다. 11월 전월비 상승률은 0.2%에 그쳐 예상치 0.3%에 다소 미달했다. 다만 전월 상승률이 0.2%에서 0.4%로 대폭 높여졌다.
커들로 NEC 위원장은 중국과 무역합의를 맺는 데 가까워졌다고 평가했다. 커들로 위원장은 미 경제방송 CNBC 인터뷰에서 “11월 중순보다 합의에 훨씬 가까워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다만 “도널드 트럼프닫기

커들로 위원장은 이후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중국의 미 농산물 구매 규모 등 가장 민감한 사안 몇몇을 두고 미중이 거의 24시간에 걸쳐 논의 중”이라며 “1단계 합의 관련 진전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민감한 사안을 심사·논의·분석·평가를 거쳐 대통령에게 전달하면 그가 최종 결정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어떤 사안도 서면으로 작성되지는 않았으며, 현재로서는 고위급 대면 계획도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합의 관련, 임의적 시한은 없지만 15일은 매우 중요한 날짜”라며 “(그때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관세가 부과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앞서 중국은 미국산 대두와 돈육 수입에 대한 관세 면제를 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 재정부는 성명을 내고 "본토 기업의 미국산 대두 및 돈육 수입에 대해 보복관세 부과를 면제하기 위한 신청 처리 절차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장안나 기자 godbless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