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16일 부동산114가 분석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9·13 대책 이후 1년간(2018년 9월 1일~2019년 8월 31일) 거래된 서울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는 평균 7억 5,814만원이다.
이는 9·13 대책 이전 1년간(2017년 9월 1일~2018년 8월 31일) 평균 실거래가인 6억 6,603만원보다 13.8% 상승한 수치다. 1년 동안 서울 집값은 평균 9,200만원이 올랐다.
다만 규제 이후 집값 상승폭 자체는 줄었다.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대책 이전 1년 21.38%에서 대책 이후 4.42%로 급격히 하락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9·13 대책 이후에도 매매가격이 상승한 건 맞지만 대책 이전 1년에 비해 대책 이후 1년 동안 매매가격 오름폭은 거의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말했다.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 가운데서도 호당 평균 매매가를 8,000만원 이상 올린 구도 여전히 존재한다. 강남권은 서초구 8,291만원, 강남구 8,142만원, 송파구 7,656만원 순으로 평균 매매가가 올랐다.
강남권은 9·13 대책 이후 상승률로만 따지면 매매가가 10% 오른 금천구에 비해 5%대를 기록하며 적게 올랐다. 하지만 금액으로만 보면 금천구의 시세차익은 4,258만원으로 강남권의 가격과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서울, 아파트값도 구별로 양극화 심화하나
문제는 거래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9월부터 올해 8월 말까지 국토부가 공개한 서울 아파트 실거래 건수는 지난 5일 기준 총 4만 2,564건으로 직전 1년 실거래 건수인 9만 7,414건보다 56.3% 줄었다.
무려 5만 4,851건이 줄어든 것이다. 특히 중도금 대출 지원 기준 금액인 9억 이하 아파트 거래가 크게 줄었다. 대책 이전 1년간 거래 건수는 8만 568건이었으나 대책 이후 1년간 거래 건수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3만 2,053건으로 집계됐다.
반면 전체 아파트 거래량에서 고가 아파트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7.4%p 늘었다. 9·13 대책 이후 9억 초과 아파트 거래량 자체는 1만 6,847건에서 1만 511건으로 줄어들었지만, 전체 거래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 것이다. 9억 이상 고가 아파트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중도금 대출에 제한을 받는다.
정부가 시행하는 부동산 정책이 되레 서민들의 내 집 마련 꿈을 빼앗고 양극화를 부추기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거래량이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곳은 강서구(-67.8%), 동작구(-67.1%), 성북구(-64.2%) 등이다. 상대적으로 거래량 감소폭이 적은 지역은 금천구(-30.5%), 송파구(-47.1%), 광진구(-47.5%)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부동산 업계는 “9·13 대책 이후 주택담보대출 규제로 내 집 마련을 위한 시장은 거래 절벽으로 침체한 가운데 재건축·고가 등 인기 지역 대상으로 실거주와 투자 목적으로 이뤄지는 현금 부자들의 아파트 거래는 상대적으로 늘어났다”고 분석하고 있다.
※ 본 기사는 한국금융신문에서 발행하는 '재테크 전문 매거진<웰스매니지먼트 10월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조은비 기자 goodra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