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에 활용되는 플라스틱의 사례. 플라스틱은 용도에 맞게 물성을 조정하는 과정을 거쳐, 비닐부터 자동차 내∙외장재까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된다. 대표 제품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이 있다.
이미지 확대보기이 제품은 적은 양으로도 강도가 높아져 이전 제품과 동일한 효과를 내기 때문에 더 가볍고 얇은 형태로 생산 가능하다. 주로 범퍼나 대시보드 등 자동차 내∙외장재에 사용된다.
SK종합화학은 범용 플라스틱 대비 사용량을 10% 가량, 중형차 한 대 기준으로는 최대 10Kg 가볍게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 플라스틱 사용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 제품이 각광받을 것으로 SK종합화학은 기대하고 있다.
또 자동차가 가벼워지면 연비 개선과 배기가스 감소 효과가 있다.
SK종합화학 관계자는 "중형차가 이 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연비는 약 2.8%가 향상된다. 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대기오염의 원인인 이산화탄소(CO2), 질소산화물(NOx)을 각각 4.5%, 8.8%씩 감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SK종합화학 김형닫기

SK종합화학의 이같은 노력은 최태원닫기

SK종합화학은 전체 폴리프로필렌 생산량의 약 40%인 15만톤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생산하고 있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