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 말했다.
박 장관은 국회 예결위에서 "일부 언론이나 학자들이 기금 소진에 초점을 맞추고 보도
해 혼란을 불렀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박 장관은 "이 문제는 물이 반 남았을 때 반이나 남았다고 할 것이냐, 반밖에 안 남았
다고 할 것이냐의 문제"라며 "기금고갈연도 2057년은 지금으로부터 40년 남았다"고 지
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대부분의 선진국은 1~2년 여유분을 갖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는 5년마다 재계산 시마다 나오는 얘기다. 처음 제도 설계시엔 2043년 소진으
로 계산해서 만들었다"고 밝혔다.
여유럽게 생각할 수도 있다. 이런 혼란으로 사연금을 운영하는 기관이나 조직들이 이
익을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5년마다 추계를 할 때 이에 대한 보도의 유형이나 대응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
에도 동의했다.
한편 예결위에 참석한 이낙연 국민총리는 "혁신성장, 저소득층부양, 공정경쟁의 큰 틀
김동연닫기

다.
부총리는 "기업과 대기업을 포함해서 시장과 소통하는 일은 원칙을 견지하는 범위에서
장려돼야 한다"면서 일각의 오해를 차단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