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이창선기자
6일 재계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된 중국 정부의 사드보복으로 현재까지 롯데가 입은 피해액은 약 2조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롯데의 중국 관련 사업 매출이 약 6조원, 전체 매출의 10%인 것을 감안하면 그룹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
롯데는 2016년 11월 경북 롯데스카힐 성주C.C(성주골프장)를 사드 부지로 정부에 제공하기로 결정하면서부터 중국 정부의 표적이 됐다. 당시 사드 부지를 제공하는 대가로 롯데에게 돌아온 건 20만 ㎡경 기 남양주 퇴계원 소재 육군 부대 부지였다.
당시 롯데 측은 최종 결정자인 신동빈닫기

우려는 현실이됐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3월 현지 롯데 사업장에 대한 각종 세무조사와 안전점검 등을 집중실시한 데 이어 소방법 위반 등의 이유로 중국 롯데마트에 대한 순차적인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
현재 슈퍼를 포함한 112개의 중국 롯데마트 점포 중 74곳은 중국 당국의 소방점검 등에 따라 강제 영업정지 상태이며, 13개는 자율휴업 중이다. 나머지 12개 매장도 불매운동에 따라 손님 발길이 끊기며 사실상 휴점 상태다. 롯데마트가 밝힌 지난해 예상 피해액은 1조2000억원이다.
사드보복에 대한 여파로 롯데마트를 운영하고 있는 롯데쇼핑의 지난해 2분기 영업이익은 87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반토막이 났다. 특히 중국 내 롯데마트의 경우 매출이 무려 94.9% 급감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신 회장은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중국을 사랑한다. 중국에서 사업을 계속하길 원한다.”며 중국 사업 지속 의지를 나타냈으나 결국 뜻을 접고 지난해 9월 현지 롯데마트 매각을 공식화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보복을 우려한 매수 희망 기업들의 인수 타진이 소극적으로 변한 데 이어 신 회장까지 뇌물공여 혐의로 법정 구속됨에 따라 매각도 쉽지 않게 됐다. 이에 국내 3대 신용평가사 모두 롯데쇼핑의 장기신용등급 AA+에 대한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하향조정하기도 했다.
이인영 나이스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그룹 회장의 경영참여가 제약되고 있어 중국 마트사업 매각이 상당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등급 전망 하향 조정 이유를 설명했다.

지난해 3월 27일 서울 중구 롯데백화점 외관에 중국어로 ‘당신을 이해합니다, 그래서 기다립니다’ 라는 안내문이 부착돼있다. 한국금융신문DB
유례없는 악재에 롯데면세점은 지난해부터 팀장급 이상 임직원 40여명의 연봉 10%를 반납받는 등 비상경영체제를 가동하고 있으나 피해액은 약 5000만원까지 불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롯데 측은 지난해 말 진행된 한중 정상회담에 희망을 걸고 경제사절단에도 참가했으나 이후 롯데마트의 영업정상화와 유커 방한 소식 등은 아직 들리지 않고 있다.
이밖에 롯데가 약 3조원을 투자한 ‘롯데월드 선양(瀋陽)’도 1년 넘게 공사가 멈춰있는 상황이다. 롯데월드 선양은 백화점‧영화관‧놀이공원 등이 들어선 테마파크로, 공사가 한창일 때는 하루 투입 현지 인원이 최대 3000명에 달했을 만큼 큰 프로젝트다.
구속된 신 회장을 대신해 대외적인 활동을 맡은 황각규 롯데지주 부회장이 올해 첫 공식 해외 출장으로 중국 선양을 택한 점도 롯데의 절실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당시 황 부회장은 현지 직원들을 만나 “중국 사업이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으니 믿고 기다려 달라”고 당부했다.
롯데는 지난달 폐막한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 완화 조치를 기대해보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지난 5일 시작된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의 장기집권을 위한 개헌안이 통과될 것으로 전망되는 등 내부적인 정치 상황에 사드 현안은 이미 뒷 전으로 밀려난 모습이다.
재계 관계자는 “관련 업계에서도 정부를 위해 부지를 제공한 롯데의 피해가 너무 심각하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라며 “특히 신동빈 회장의 부재로 대내외 활동이 약화되는 등 사드 갈등이 해결되더라도 피해 회복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