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경찰은 서울 여의도 KB금융지주 본사 인사(HR) 본부장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지난 9월 KB금융그룹 노동조합협의회가 윤종규닫기

경찰은 이번 압수수색 분석결과와 다른 관계자 조사 내용을 토대로 윤종규 회장 등의 소환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사측인 KB금융지주 관계자는 "노조가 주장하는 조직적 개입은 없었으며 경찰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밝혔다.
전일(2일)에는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신입행원 채용비리 의혹 관련 책임을 지고 임기를 1년 5개월여 남기고 전격 사임했다. 우리은행은 국정 감사를 통해 지난해 하반기 신입행원 채용에서 금융감독원, 국가정보원 등 사정기관을 비롯 은행 고액 고객의 자녀, 친인척, 지인 등의 'VIP 리스트'를 작성해 채용인원의 10%(16명)를 특혜채용 했다는 내부 문건이 공개되면서 채용 비리 의혹을 받고 있다.
우리은행은 자체 조사를 통해 "추천이 당락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중간 보고서를 금융감독원에 보냈으나 금감원이 검찰에 수사 의뢰를 통보하면서 검찰 수사를 앞두고 있다.
채용비리 의혹 신호탄은 앞서 지난 9월 감사원의 금융감독원 감사 결과에서 비롯됐다. 감사결과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해 채용 과정에서 선발인원, 평가방식 등을 조정해 당락을 부당하게 바꿨다. 이와 관련 김수일 전 부원장, 이병삼 전 부원장보 등 3명이 검찰수사를 받고 있고, 검찰은 지난 1일 이병삼 전 부원장보에 대해 업무방해·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올들어 금융권은 각종 비위행위에 연루돼 사정당국의 압수수색 대상에 올랐다.
앞서 지난 3월에는 BNK금융그룹이 시세 조종 혐의로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았고 회장이 교체됐다. DGB금융그룹도 9월 비자금 조성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았다.
금감원 채용비리 의혹 관련해서는 지난달 검찰이 김용환닫기

금융권에서는 채용 비리 의혹에 연루된 최고경영자(CEO)의 경우 거취가 불분명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이 범정부적인 채용비리 근절을 타깃한 만큼 금융권에 파장도 즉각 반영되고 있어서다. 금융당국은 이달 말까지 예금보험공사, 자산관리공사, 주택금융공사, 신용보증기금, 산업은행, 기업은행, 예탁결제원 등 7개 금융공공기관에 대해 특별점검반을 꾸려 채용 과정 전반을 점검하고 있다.
당국은 금융공공기관에서 채용비리가 발생할 경우 관련자에게 상응하는 책임을 묻고 기관예산편성, 경영평가 등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경고했다. 은행권도 이달 말까지 14개 국내은행이 채용시스템 전반에 대해 자체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잇따른 압수수색 등을 두고 이전 정부에서 임명된 CEO들을 '물갈이'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관행적인 부분을 해소하는 것은 맞겠지만 전방위적으로 확대되면서 뒤숭숭한 분위기"라고 전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