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왼쪽에서 다 섯번째)과 관계자들이 ‘제 3회 신세계그룹 상생 채용 박람회’에서 커팅식을 진행하고 있다. 신세계그룹 제공
3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그룹은 유통업계 최초로 내달 1일부터 개인 하루 연차를 4번에 나눠서 쓸 수 있는 ‘2시간 휴가제’를 도입한다. 시간 단위로 움직여야하는 유통업계 특성상 이 같은 제도는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현대백화점그룹은 여성 인력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업무 특성을 고려해 현대백화점과 패션 계열사 한섬에 우선적으로 적용한 뒤 현대홈쇼핑, 현대그린푸드 등 다른 계열사로 2시간 휴가제도를 확대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2시간 휴제로 인해 임직원들이 여가활동과 자기계발 등 ‘저녁이 있는 삶’을 보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자녀를 둔 기혼 여성과 임산부 직원들의 제도 사용률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현대백화점그룹은 올 하반기에 지난해 하반기(1030명)보다 약 30% 가량 늘어난 1340명을 채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소속 비정규직 직원 23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등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롯데그룹은 오는 1일부터 2017년도 하반기 신입사원과 동계 인턴사원 공개채용을 실시한다. 올 하반기 공채·인턴 및 경력사원으로 6100명을 선발해 동일한 채용인원 수준을 유지해 2022년까지 약 7만명을 채용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이번 신입 공채 인원의 약 40% 이상을 여성으로 선발한다.
이는 신동빈닫기

아울러 롯데그룹은 향후 3년간 비정규직 1만명을 단계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정규직으로 전환된 직원들에게도 승진 기회를 차별없이 제공하며, 근무성적이 우수한 직원에게는 일반 직무로도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예정이다.
신세계그룹은 지난 2015년에는 1만 4000명, 지난해에는 1만 5000명을 신규 채용했으며, 올해도 전년 이상의 인원을 채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5월에는 ‘제 3회 신세계그룹 상생 채용 박람회’를 열고 이마트, 신세계백화점, 신세계푸드 등 주요 계열사 14개의 구직 정보를 제공했다.
지난달 청와대 호프미팅에 참석한 정용진닫기

신세계그룹의 경우 지난 2014년 비전 ‘2023’을 통해 10년간 17만명을 고용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뒤 최근 2년간 총 3만 여명을 고용해오고 있다. 지난 24일 오픈한 복합쇼핑몰 스타필드 고양을 통해서도 약 3000여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신세계 측은 기대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유통업계는 그간 직원들의 무덤이라고 불릴 정도로 업무 강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아왔다”며 “이제는 채용인원 확대에 있어서 숫자 경쟁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복지제도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밝히고 있어 앞으로는 긍정적으로 평가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미진 기자 mj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