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3월 한달간 국내 조선업계의 선박 수주량은 14만CGT(표준화물톤수)·7척을 기록, 전년 동월 11만CGT(6척) 대비 27.3% 증가했다.
지난 1월과 2월에도 33만CGT(7척), 42만CGT(8척)을 수주해 전년 같은기간 대비 각각 1550%, 667% 증가했다. 덕분에 1분기 국내 조선업계의 수주실적은 89만CGT(22척)로 전년 20만톤(9척) 대비 345% 증가했다.
그러나 수주실적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부정적인 전망은 지속되고 있다. 글로벌 업황 회복의 부진과 급감하고 있는 수주규모로 사업안정성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클락슨리서치는 지난 3월 들어 전세계 선박 발주량이 큰 폭으로 감소해 업황회복은 지지부진한 것으로 분석했다.3월 한달간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85만CGT·53척으로 지난해 3월 152만CGT·55척 대비 44.1% 줄었다. 1월과 2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7.7%, 216.9% 늘었지만 상승세가 꺾인 것이다.
업황 개선의 뚜렷한 신호가 나타나지 않는 가운데 일감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국내 조선업계의 수주잔량(남은 일감)은 전월 대비 72만CGT 감소한 1767만CGT를 기록했다. 지난 2003년 3월 1734만CGT를 나타낸 이후 13년 만에 최저치다. 국가별 수주잔량에서도 중국(2723만CGT), 일본(1858만CGT) 보다 뒤졌다.
김광수닫기

한기평은 지난 3일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현대미포조선의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다. 특히 삼성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은 투자등급인 'BBB+/부정적'까지 하락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