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한국은행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16년 3분기 중 전자지급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지난 3분기(7∼9월) 스마트폰을 통한 간편결제서비스(계좌이체 및 휴대폰결제 제외) 이용건수는 하루 평균 101만1400건으로 2분기(71만3800건)보다 41.7% 급증했다.
3분기 하루 평균 이용금액도 294억7670만원으로 전분기보다 42.2%나 늘었다.
간편결제 서비스는 스마트폰에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정보를 미리 저장해두고 물건을 살 때 비밀번호 입력, 단말기 접촉 등으로 손쉽게 결제하는 방식이다.
한국은행은 "간편 결제 서비스 증가에 오프라인에서 지급거래가 상대적으로 많은 유통·제조업 기반 업체 이용 건수와 금액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페이, SSG페이 등 유통·제조업 기반 업체의 간편결제가 67만건(이하 하루 평균 기준)으로 2분기보다 60.3% 늘었고 이용금액도 183억1030만원으로 66.0% 증가했다.
반면 카카오페이같은 정보통신기술(ICT)에 기반한 업체 간편결제는 3분기 34만1400건으로 전분기보다 15.5% 늘어나느 수준에 머물렀다.
간편결제서비스가 전체 카드 결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크지 않다. 올해 상반기 신용·체크카드에서 간편결제서비스 비율은 건수 기준으로 2.3%, 금액 기준으로 1.5%로 나타났다.
간편송금 서비스도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올해 3분기 간편송금 이용건수는 14만8800건으로 전분기 보다 25.7% 늘었고, 이용금액은 79억2240만원으로 70.1%나 급등했다.
간편송금 서비스는 스마트폰에 충전한 선불금을 전화번호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보내는 방식이다.
한국은행은 "제공업자 별로 보면 전자금융업자가 이용건수나 금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증가폭도 커서 간편송금 시장의 성장세를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은행은 올해부터 간편결제, 간편송금 등 핀테크 기반 신종 전자지급서비스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