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 총수들 청문회서 탈퇴 언급… 구본무닫기

6일 열린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1차 청문회에서 주목받은 발언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전경련 탈퇴’ 선언이다. 이날 하태경닫기

이 부회장뿐 아니라 여러 재벌 총수들도 전경련 탈퇴를 시사했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전경련 탈퇴 의사 있다”고 발언했으며, 구본무 LG그룹 회장, 최태원닫기

구본무 LG그룹 회장의 경우 전경련의 역할을 ‘친목단체’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제시 눈길을 끌었다. 구 회장은 청문회에서 “전경련은 (미국의 싱트탱크)헤리티지 재단 처럼 운영되고 각 기업의 친목 단체로 남아야 한다”고 증언했다.
◇ 허창수, 정권 비리 메신저 역할만 강조
이날 또 다른 증인으로 참석한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증언을 통해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에 있어 전경련은 정권의 비리 메신저 역할을 했다고 규정했다. 그간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에 있어 전경련은 핵심 기관으로 지목돼왔는데 청와대의 지시를 회원사들에게 전달하는 역할만 수행했다는 애기다.
6일 열린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1차 청문회에서 허창수 회장은 “메신저 이상 아니다”라고 딱 잘라 증언했다. 허 회장은 청문회에서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 마무리 단계에서 이승철 부회장으로부터 설립한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청와대에서 재벌들에게 입장을 직접 설명했고, 전경련은 메시저 이상 역할은 아니다”고 답했다.<관련기사 [최순실 국조] 허창수·이승철 “전경련, 메신저에 불과”>
이승철 부회장도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 과정에서 청와대가 세세한 부분까지 관여했다고 증언, 허 회장의 진술과 맥락을 같이했다. 이 부회장은 “그간 여러 공익재단을 설립 추진해왔지만 미르·K스포츠 재단은 청와대에서 여러 세세한 부분까지 관여했다”며 “이 것이 여타 재단과의 차이점”이라고 말해 설립 과정에서 전경련의 비중은 적다고 시사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