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손영권 삼성전자 전략혁신센터 사장, 디네시 팔리월 하만 CEO, 박종환 삼성전자 전장사업팀장이 21일 손을 잡고 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디네시 팔리월 하만 CEO는 지난 21일 열린 ‘삼성전자-하만 M&A’ 기자간담회에서 “우리의 목표는 스마트 자동차 시대에 1차 솔루션 공급업체, 티어(Tier)1이 되는 것”이라며 “M&A 발표 후 현대차를 포함해 많은 고객사를 방문했고, 그때 완성차 사업에 들어가지 않을 것을 명확히 했다”고 밝혔다.
박종환 삼성전자 전장사업팀 부사장도 “우리 고객사가 완성차 업체인데 고객사가 하는 사업에 삼성이 들어가기 위해 하만을 800억 달러에 인수했을 리는 없지 않으냐”며 “우리가 하만을 인수한 것 자체가 완성차로 가지 않겠다는 반증으로 봐달라”고 말했다
21일 기자간담회를 통해서 삼성전자와 하만은 향후 커넥티드카에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커넥티드카 OS 시장 공략을 우선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기아차 등 완성차 업체와는 손을 잡고, 애플 카플레이 등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진출해 커넥티드카 OS시장 공략에 나서겠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하만의 경쟁상대는 차 부품업계로 좁혀졌다. 현대모비스, 만도 등이 최근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개발 등에 주력하고 있지만, 결국 커넥티드카 OS 시장에서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이다.
차 부품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하만의 어제 기자간담회에서의 발언 요지는 커넥티드카 OS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것”이라며 “향후 삼성전자의 IoT(사물인터넷) 기술과 하만의 프리미엄 카오디오 등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기술 시너지를 통해 관련 신상품이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국내 차부품 업계와 삼성전자-하만이 경쟁할 것은 아니다”며 “그러나 기자간담회에서 밝혔듯이 시너지를 통해 커넥티드카 OS 시장에 진출한다면 충돌은 피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