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28일 KB손보·메리츠화재·롯데손보·한화손보·흥국화재 등 5개 보험사 관계자들을 소집해 LPG 차량의 보험료율 산정 방식에 대해 마지막으로 의견을 교환했다.
손보사들은 올해 하반기 LPG 차량 보험료를 2~15% 인상했다. 보험료 인상 이유로 LPG·하이브리드 차량의 손해율이 휘발유·경유 차량보다 높다는 이유에서다.
금융감독원은 LPG 차량의 주 이용자인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차별 소지가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면서 보험료 인하 권고를 검토하고 있다. 불합리한 부분에 대해 변경 권고를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보험개발원의 '개인차량용 연료별 손해율' 통계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연료별 손해율은 하이브리드 92.7%, LPG 83.5%, 경유(디젤) 81.9%, 휘발유 79.2%다. 업계가 추정하는 적정 손해율은 77% 수준이다.
금감원이 변경 권고를 시행할 경우 전체 보험료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해당 손보사들이 전체 보험료 인상 폭을 '0'으로 만들기 위해 LPG 차량의 보험료를 올리는 대신 휘발류 차량 보험료를 낮췄기 때문이다.
지난달 7일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성명서를 통해 손보사 LPG 차량 보험료 인상에 대한 중단을 요구했다. 보험료 인상 시 손해율이 주로 발생하는 영업용 차량과 개인용 차량을 구분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LPG 차량 10대 중 4대를 장애인 및 국가 유공자인 소외계층이 이용하고 있다"며 "손해율이 높다는 이유로 보험료를 인상하는 것은 장애인의 경제적 상황과 이동권을 악화시키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반발에 우려해 해당 5개 보험사 외 다른 보험사들은 LPG 차량에 대한 보험료 인상을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금감원이 인상폭을 재조정하는 방식 등으로 LPG 차량에 대한 보험료 변경 권고를 내릴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
이은정 기자 lejj@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