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현지시간) 시장조사기관 IDC의 세계 분기별 휴대전화 추적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2015년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5.7% 늘어난 3억9950만 대를 출하했다.
대수 기준 시장점유율은 삼성전자가 21.4%(8560만대), 애플이 18.7%(7480만대)로 1·2위를 유지했고, 화웨이 8.1%(3240만대), 레노버 5.1%(2020만대), 샤오미 4.6%(1820만 대), 기타 42.1%(1억830만대)였다.
전년 동기 대비 출하 대수 증가율은 삼성전자 14.0%, 애플 0.4%, 화웨이 37.0%, 샤오미 10.0%, 기타 -3.3%로, 화웨이의 약진이 두드러졌고 삼성전자와 샤오미도 평균 수준 넘어서는 성장을 했으나 애플은 제자리걸음이었다.
레노버는 본사만 따지면 출하 대수가 전년 동기 대비 43.6% 성장했으나, 레노버가 인수한 옛 모토로라 모빌리티까지 합해서 따지면 오히려 18.1% 감소했다. 2014년 4분기 레노버 점유율은 3.7%, 옛 모토로라 점유율은 2.8%였다.
2015년 1∼4분기 전체로 보면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 대수는 14억3290만 대로 전년 대비 10.1% 증가했다.
2015년의 대수 기준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은 삼성전자가 22.7%(3억2480만 대), 애플이 16.2%(2억3150만대), 화웨이가 7.4%(1억660만대), 레노버가 5.2%(7400만대), 샤오미가 4.9%(7080만대)였다.
2014년 대비 2015년 출하량 증가율은 삼성전자 2.1%, 애플 20.2%, 화웨이 44.3%, 샤오미 22.8%로, 중국 시장을 잘 공략한 업체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레노버는 본사만 따지면 연간 출하량이 24.5% 증가했으나 옛 모토로라까지 합해 감안하면 21.1% 줄어들었다.
IDC는 삼성에 대해 “고가 부문에서는 애플로부터, 저가와 중가 부문에서는 샤오미, 화웨이, ZTE 등 중국 제조사들로부터 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전선이 여러 곳인 싸움을 벌이고 있다”고 평했다.
IDC는 애플의 2015년 실적에 대해 “애플 페이와 포스 터치 등 혁신적 신기능과 새로운 로즈골드 색상, 성능 향상, 속도 증가 등이 결합해 안드로이드로부터 (아이폰으로) 전환하는 사용자들이 기록적으로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 시장분석기관은 4분기에 화웨이가 가장 큰 승자였다며 “노키아, 삼성, 애플에 이어 1년에 1억대 이상의 스마트폰을 출하하는 사상 네 번째 기업이 됐다”고 지적했다.
IDC는 이어 “중국에서 나온 주요 브랜드들 중 화웨이는 신흥시장에서 합리적 가격의 단말기를 내놓는 한편 플래그십 모델들의 경쟁력을 점점 높여 존재감과 점유율을 꾸준히 올려 왔다”고 강조했다.
레노버는 모토로라 인수 후 조직개편 과정에서 아직 안정을 찾지 못한 것으로 평가됐다.
샤오미는 물량의 90% 이상을 중국 시장에 의존하고 있고 저가 모델에 치우친 점이 약점으로 지적됐으나, 성장을 계속해 6위인 LG와의 격차를 더 벌렸다.
오아름 기자 ajtwls07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