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 대부업검사실은 이날 대형 대부업체 사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최고금리 인하 등 최근 현안에 대해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A대부업체 사장은 간담회 의미를 “최고이자율 등 본질적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속을 터놓은 자리였다”고 말했다.
우선 이 자리에서 금융당국 측 관계자는 개인 신용대출에 대해 고객의 신용등급에 상관없이 일괄적으로 고금리를 매기고 있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연체가 없는 장기 우량고객의 경우 금리 인하도 고려해야 하는 게 아니냐며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강하게 역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금감원 대부업검사실 한 관계자는 “현재 대부업체의 대출금리 등급은 신용등급별로 금리가 다양하지 않다”고 말한 뒤 “특히 연체가 없는 장기 우수고객에 대해선 금리인하 여지가 있다고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현재 대출금리 수준에서 보면 2∼3%의 금리인하는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같은 전언에 대해 대부업계의 반응은 일단 부정적이다.
이들은 고객 신용등급별로 대출금리를 차별화하지 않는 것에 대해 몇 가지 이유가 있다고 말다.
우선 일부 대형 업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대부업체는 신용등급별 대출 원가를 분석할 수 있는 고객평가 시스템이 없다는 것이다.
일례로 러시앤캐시 등 일부 대형 업체를 제외하면 고객평가시스템이 없다. 이러다보니 저신용자를 기준으로 책정한 고금리를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특히 B대부업계 관계자는 “대부업체 주거래 고객 대부분이 7~8등급의 저신용층인 상황에서 대출금리 분포를 다양화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일부 대출자들이 개인회생 제도를 남용하면서 떼이는 대출금이 많아 이를 보전하기 위해선 지금의 이자율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다이렉트 채널의 영업비중이 커지면서 광고비가 많이 들어 추가적 금리 인하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고 제기한다.
임승보 한국대부금융협회장은 최근 “현재 금리 상황은 원가를 더 절감할 수 있는 부분은 거의 없다고 본다”며 “추가적인 금리 인하는 대부업계에 큰 위험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금융당국이 대형 대부업체 사장들을 불러들여 신용등급별 금리차별화를 요구하는 것과 관련해 시장 일각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이와 관련 신용평가사 한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입장은 이해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대부업체 사장들을 호출해 압박하는 모습은 바람직하지 않다” 지적했다.
원충희 기자 w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