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강정원 행장이 외환은행 인수에 대해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밝힌 것과 관련 이사회 의결이 중요한 관문으로 대두하고 있어서다.
이사회 의결까지는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 정도 수위로 표현을 멈춘 채 “다른 어떤 표현도 할 수 없다”고 손사래 치지 않았겠냐는 분석에 기자는 솔깃했다.
이건 좋은 뜻에서 관심이겠지만 나쁜 면에서 관심이 쏠리면서, 어쩌면 이슈화될지 모를 가능성도 이사회엔 쏠려 있다.
그것은 국민은행 이사회의 ‘막강한 권능’에 대한 이의제기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30일 국민·주택 통합 4주년을 앞두고 지배구조 개선을 이뤘다며 이사회 역할 조정 결과를 공개했다.
당시 공개한 ‘개선 결과’를 평가하면 사외이사들이 막강한 권능을 지니는 기업으로서는 국민은행 만한 곳이 없다는 말로 집약할 수 있겠다.
좀 더 들여다보면 정동수 이사회의장이 위원장으로 겸직하는 평가보상위원회의 막강한 힘이 논란의 빌미를 주고 있다.
평가보상위(이하 평보위)는 4명의 사외이사만으로 구성된 가운데 은행장 후보 풀과 사외이사 후보 풀을 관리하다가 다른 사외이사들로 가동될 비상설 ‘은행장추천위’와 ‘사외이사 추천위’에 넘겨준다.
후보 선발과 간택권을 분리한 것이어서 힘의 분산이 잘 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은행 일각에선 “결국 평보위가 골라 놓은 범위에 갇히는 꼴”이라고 우려한다. 임기 1년인 사외이사들이 은행의 장래에 무한한 영향을 미칠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 멤버의 승계를 전담하는 것이 타당한 것이냐며, 당시 ‘개선 결과’를 가장 상세하게 기사화 했던 기자에게 따지듯이 물어오는 이도 있었다.
자, 이들의 우려와 의문은 어떤 이유로 발원하는 것일까?
기자는 뚜렷한 주인도 없이 80%를 웃도는 외국인 지분율 때문에, 국민은행의 혈통을 구분하라면 혼혈계로 분류하고 싶다. 국내 혼혈계 은행들의 약점은 높은 배당요구에 응하고 적정한 수준의 실적관리만 이뤄진다면 그것이 설사 지독한 단기업적주의로 치닫는다 하더라도 제어할 시스템이 없다는 치명적인 부분이 내포돼있다. 당장 그럴 가능성이 없다 해도 미리 생각하지 말아야 할 이유는 없다.
이런 조건인 가운데 외부에서 건전 경영 여부를 감시하고, 집행부 역할을 하는 CEO와 집행임원을 관리 감독하는 역할을 맡은 사외이사들이, 자신들의 권능을 승계할 사람을 스스로 정하고 뽑는다는 데서 견제의 묘미가 실종되는 상황이 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가지게 된다.
기자가 기억하기에 김정태닫기

“아! 그런 거군요.”하며 “제가 괜한 소리에 혹했네요……”라며 면목 없어 얼굴이 발그레질 수 있는 속 시원한 답변을 기대해본다.
정희윤 기자 simm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