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무디스는 외부충격에 대한 취약성이 획기적으로 감소하고 외화유동성을 확충하는 정부정책 등이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및 전망을 지지(support)하고 있다고 밝혔다.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은 `Baa2`, 전망(Outlook)은 `안정적(Stable)`으로 돼있다.무디스는 금융부문에 내재적 취약성이 존재하며 기업구조조정이 초기단계에 있으나 한국의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유지한다고 밝혔다.무디스는 우호적인 대외경제여건이 수출증가 및 경상수지 흑자 유지에 일조했으며 원-엔 환율 안정으로 한국의 실질 경쟁력이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그러나 구조조정이 완결되지 못한 점, 금융 및 기업부문의 잠재적 취약성 등이 한국경제의 가장 큰 위험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안정성이 회복된 은행 부문과는 달리 비은행부문은 아직 취약한 상태이며 최근 경기둔화로 도산과 도덕적 해이,경제회복을 위한 재정비용 등이 증가할 위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무디스는 또 최근 남북관계 개선은 국가신용등급에 정치적 위험을 감소시키는 긍정적 요인과 함께 남북화해 및 통일에 따라 한국이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질 수 있다는 부정적 요인을 복합적으로 수반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태경 기자 ktitk@fntimes.com